北 '보리장마'에 때 이른 장마까지...7차 핵실험·식량난 변수? / YTN

北 '보리장마'에 때 이른 장마까지...7차 핵실험·식량난 변수? / YTN

北, 봄 가뭄에 이어 이달 들어 ’보리장마’ br 北 올해 장마도 평년보다 일찍 시작할 전망 br 北 식량난 심화 우려…"약 86만 톤 식량 부족" br 北 기상 상황, 핵실험 시기 결정의 변수로 작용br br br 북한이 7차 핵실험 준비를 사실상 마친 것으로 파악돼 김정은 위원장이 언제 감행을 결정할지 관심이 높은데요. br br 이달 '보리장마'에다 본 장마도 앞당겨질 전망이어서 기상 상황이 식량난은 물론 핵실험 시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br br 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북한이 올해 봄 가뭄에 이어 이달 들어선 '보리장마'를 겪고 있습니다. br br '보리장마'는 본격적인 장마철 전 초여름 보리를 거둘 무렵 많은 비가 내리는 현상으로 농작물 수확의 악재로 여겨집니다. br br 여기에 본 장마도 평년보다 빠른 다음 달 상순쯤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br [조선중앙TV (지난 18일) : 올해의 기본 장마는 평년보다 빨라서 7월 상순 경에 시작될 것으로 이렇게 보고 있고 7월부터 9월 사이에는 태풍 영향도 2차례 정도 받을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br br 북한의 잇단 기상이변은 가뜩이나 힘겨운 식량난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br br 식량 부족 규모는 2∼3개월 치 식량에 해당하는 약 86만 톤으로 추정됩니다. br br 또 북한의 기상 상황은 핵실험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꼽힙니다. br br 폭우가 내리면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까지 실험장비를 운반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데다 핵실험 계측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 br [홍 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핵실험) 계측 장비나 실험 장비들이 대체로 습기나 우천에 굉장히 약하거든요. 그래서 우천으로 인해서 (생략) 측정이 못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가급적 피하려고 하는 부분이 있고…] br br 또 집중 호우로 지반이 약한 상태에서 핵실험 충격이 가해지면 방사능 물질의 하천 유입 등 위험도 커집니다. br br 이런 이유로 북한은 지난 2017년 6차 핵실험을 비롯해 과거 핵실험 때 장마철을 피해왔습니다. br br 7차 핵실험이 이달을 넘길 경우 9월이나 10월이 유력한데 올 가을 중국의 20차 당 대회가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br br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확정할 당 대회 직전에 핵실험을 하기엔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br br 코로나19와 급성 장내성 전염병 확산 등 북한 내부 사정도 감행 시기에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됩니... (중략)br br YTN 이교준 (kyojo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0

Uploaded: 2022-06-20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