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北도 피해갈 수 없었다..."7차 핵실험 주요 변수" / YTN

[자막뉴스] 北도 피해갈 수 없었다..."7차 핵실험 주요 변수" / YTN

北 압록강 하류 청천강 유역 등에 비 집중 br 30일까지 황해도·개성시 예상 강수량 250~300㎜ br 北 7차 핵실험 계획에 ’장마’ 주요 변수 br 7월 27일 전후 北 7차 핵실험 가능성br br 평양 시내에 천둥 번개와 함께 많은 비가 쏟아집니다. br br 가로수들은 뿌리째 뽑혀 쓰러졌습니다. br br 지난 25일부터 계속된 비로 북한 대부분 지역에 폭우 경보가 발령됐습니다. br br [북한 기상수문국 관계자 : 강한 대기 불안정의 영향으로 평양시를 비롯해 서해안 중부 지역들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해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됐습니다.] br br 특히 압록강 하류 청천강 유역과 대동강 중상류 지역 등에 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오는 30일까지 황해도와 강원도 내륙, 개성시의 예상 강수량은 250~300㎜로 예보됐습니다. br br 본격적으로 시작된 장마는 북한의 7차 핵실험 계획에 주요 변수로 부상했습니다. br br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 북한이 소형 수소탄과 전술핵무기 개발을 위해 핵실험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장마 기간에는 습기 등으로 인해 측정 장비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br br 장마 기간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정부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br br [조중훈 통일부 대변인 : 한미 당국은 긴밀한 공조하에 북한의 주요 시설, 지역에 대한 동향을 면밀히 추적 감시하고 있으며….] br br 북한이 실험에 나선다면, 가깝게는 북한이 '전승절'이라고 주장하는 휴전협정체결기념일인 7월 27일 전후가 일단 유력합니다. br br 최근 6·25전쟁 72주년을 맞아 5년 만에 대규모 반미 군중집회를 여는 등 내부결속을 다지기도 했습니다. br br 그러나 그동안 감행된 여섯 번의 핵실험 중 여름에 시행했던 적이 없어 기존 패턴을 봤을 때 가을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br br YTN 조수현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5K

Uploaded: 2022-06-28

Duration: 01:5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