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지' 감소세...미혼 비중 늘고 평균 연령 낮아져 / YTN

'임신중지' 감소세...미혼 비중 늘고 평균 연령 낮아져 / YTN

재작년까지 3년 동안 임신중지 경험, 이전보다↓ br 여성 건강권 보호 위해 대체 입법 마련 시급br br br 여성의 임신중지, 낙태 실태에 대한 최근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br br 전반적으로 임신중지 경험률은 줄었지만, 미혼의 비중이 늘고 평균 연령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이형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재작년까지 3년 동안 여성의 임신중지, 낙태 경험률은 그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지난해 진행한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결과입니다. br br 임신·출산 평균 연령이 올라간 것을 반영해 만 15살∼49살 여성 8,500명을 대상으로 했는데, 이 가운데 606명이 임신중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br br 대부분 6주차에 임신을 중지했는데, 사회활동 지장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br br 앞선 2018년 실태조사에서 만 15살∼44살 여성 만 명을 대상으로 한 만큼, 같은 나이 구간대로 끊어 비교해봤습니다. br br 이번 조사에서 해당 연령대 임신중지 경험자는 365명으로 임신 경험 여성의 15.5를 차지해, 2018년 조사 때보다 4p 넘게 줄었습니다. br br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 전반적인 인공임신중절 지속 감소의 원인으로는 첫 번째 피임 인지율 및 실천율의 증가를 꼽을 수 있겠고요. 만 15세에서 44세 여성의 인구에 대한 지속적인 감소, 그것들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br br 임신중지 당시 평균 나이는 만 27살로 2018년 조사 때보다 더 낮아졌고, br br 미혼 여성 비중은 늘어 2018년보다 17p 넘게 급증했습니다. br br 한편 세부 통계를 보면 전반적인 감소세 속에 2019년과 2020년 임신중지 건수가 소폭 늘었습니다. br br 연구원 측은 지난 2019년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등 사회적 분위기 영향이 없지는 않겠지만, 코로나19 여파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br br [최영준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장 :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낙태죄가 사실상) 사문화됐다고 해도 어쨌든 그때(2020년)까지는 정확히 법적인 처벌 근거가 형법상 있었기 때문에 (낙태죄 폐지된) 2021년 이후 추세를 보려면 추가적인 조사가….] br br 다만, 낙태죄 폐지 이후에도 여성 건강권이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이 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대체 입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YTN 이형원입니다.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 (중략)br br YTN 이형원 (lhw90@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2-06-30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