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한은, 사상 첫 '빅스텝' 단행...물가 상승 억제에 '올인' / YTN

[더뉴스] 한은, 사상 첫 '빅스텝' 단행...물가 상승 억제에 '올인' / YTN

최근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좀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br br 1년 전 이맘때 기준금리는 0.5였습니다. br br 이후 금융통화위원회가 잇따라 금리를 0.25p씩 올리면서 올해 초에는 1.25가 됐습니다. br br 이때만 해도 미국 기준금리는 0.25로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br br 그런데 미국이 올 초부터 무서운 속도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br br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인데요. br br 그 결과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좁혀졌습니다. br br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 3월 기준 금리를 0.25p 올렸고요. br br 5월에는 22년 만에 한 번에 0.5p를 올리는 '빅 스텝'을 단행했습니다. br br 6월 연준 정례회의에서는 단박에 '자이언트 스텝', 0.75p 금리를 인상했죠. br br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 1.5~1.75가 되면서, br br 보시는 것처럼 지난달 기준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상단이 연 1.75로 같아지기도 했습니다. br br 연방준비제도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오늘 금융통화위원회의 첫 '빅 스텝' 결정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문제는 미국 연준이 이달 말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또 0.75p 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br br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지난달 15일) : 오늘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했으며,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br br 이렇게 되면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합니다. br br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보다 높아지면 외국인 투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도 급격히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 여기에 원화 약세 탓에 같은 물건이라도 더 많은 원화를 주고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물가 급등세에 기름을 부을 수 있습니다. br br 안 그래도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겠죠. br br 이런 가운데 최근 밥상 물가도 부담입니다. br br 복날 대표 음식, 삼계탕값마저 크게 올랐다고 하는데요. br br 이번 주 토요일이 초복인데, 대목을 앞두고 있지만 시민들도, 상인도 참 힘든 시기입니다. br br br br br br YTN 엄지민 (thumb@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2-07-13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