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통로·인화물질 소지 등 사고 위험 커…노조 “강대강”

좁은 통로·인화물질 소지 등 사고 위험 커…노조 “강대강”

ppbr br [앵커]br긴장감이 가득한 거제 파업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br br홍진우 기자, br brQ1. 현장 분위기 어떻습니까. 한 치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질 않나요? br br[기자]br전 지금 대우조선해양 1도크에 나와 있는데요. br br협력업체 소속 근로자 1백여 명이 점거 시위를 벌이고 있는 곳입니다. br br공권력 투입 가능성으로 현장은 폭풍전야 같은 상황입니다. brbr오늘 현장에선 대우조선 협력업체 측과 노조가 서로 피켓 시위를 벌였는데요. br br충돌은 없었지만, 분위기는 냉랭했습니다. br br오늘 협력업체와 하청지회 간 비공개 교섭이 열렸지만 양측은 끝내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br br임금인상률 등에 대한 이견이 크기 때문입니다. br br노조 관계자는 지난달 말부터 지난달 1세제곱미터 크기의 철제 구조물에 스스로 들어가 '철창투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br br오늘 현장을 찾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파업을 풀 것을 설득했지만 노조는 파업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brbr[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br"정부도 최선의 지원을 하겠습니다. 그런데 먼저 다치지 말고 여러분들이, 이게 참 걱정되는 데 빨리 푸시는 게 저는…" br br[유최안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br"풀 마음이 없습니다." brbrQ2. 공권력 투입도 쉽지는 않은 게 상당히 위험할 수 있다면서요?brbr경찰은 강제 해산을 위한 공권력 투입 시기를 조율하는 모습입니다. br br하청지회 지회장과 부지회장에 대해 오는 22일까지 조사받으러 나오라는 출석 요구서를 보냈는데요. br br이후 체포 영장을 발부받아 강제 구인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전담수사팀은 인력을 대거 보강했고, 불법 점거 중인 1도크 현장 안전진단에도 착수했습니다. br br하지만 이 과정에서 불상사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br br접근 가능한 통로는 가파르고 좁은 철제 계단이 전부입니다. br  br일부 조합원들은 시너 같은 인화물질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노동계 반발도 큽니다. br br민노총 경남지부는 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은 파국이라며 정부의 강경 대응이 현실화되면 하청노동자들의 방패이자 울타리가 될 것이라며 맞대응을 예고했습니다. br br지금까지 대우조선 옥포조선소에서 채널A 뉴스 홍진우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2-07-19

Duration: 02:2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