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10만 명 육박…석 달여 만에 가장 많아

신규 확진 10만 명 육박…석 달여 만에 가장 많아

신규 확진 10만 명 육박…석 달여 만에 가장 많아br br [앵커]br br 어제(25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만 명에 육박하면서 석달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br br 하루 새 3배 가까이 급증했는데요.br br 자세한 소식,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br br 차승은 기자.br br [기자]br br 네. 서울역 앞 임시선별검사소에 나와 있습니다.br br 어제(25일) 하루 전국에서 새로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9만 9,327명입니다.br br 하루 만에 3배 가까이 급증한 건데 신규 확진자가 9만 명을 넘은 건 약 석 달 만에 처음입니다.br br 검사 건수가 줄며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주말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컸다는 해석이 나옵니다.br br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간격으로 2배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은 주춤했는데요.br br 어제 확진자는 7만여 명 확진된 일주일 전보다 1.35배 많은 수치입니다.br br 계속되는 확산세에 위중증 지표도 오르고 있습니다.br br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68명으로, 하루 만에 24명 늘었습니다.br br 하루 사망자는 17명 나와 그제와 같았습니다.br br [앵커]br br 이런 가운데 질병청이 이번주 감염재생산지수와 코로나19 위험도를 발표했습니다.br br 감염재생산지수는 조금 줄었고, 위험도도 3주째 '중간' 단계를 유지했네요?br br [기자]br br 그렇습니다.br br 환자 1명이 몇 명을 감염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는 1.54로, 지난주보다 조금 내려왔습니다.br br 앞서 신규 확진자가 급증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br br 하지만 일주일 단위로 보면 증가세가 조금 주춤했습니다.br br 지난주 확진자 증가율은 약 83로 물론 큰 폭 늘었는데, 2배 넘게 늘어났던 전주보다는 줄어든 겁니다.br br 하지만 이 지수는 4주째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데요.br br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넘으면 유행 확산을 의미하는 만큼, 정부는 당분간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br br 방역 당국의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br br "감염재생산지수는 여전히 1 이상입니다. 향후 한 2~3주 정도는 계속 증가세가 이어지지 않을까…"br br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3주 연속 '중간' 단계를 유지했는데요.br br 확진자, 위중증 환자 등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의료 여력이 충분하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입니다.br br [앵커]br br 오늘 또 질병청이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하나 발표했죠.br br 코로나19 2차 백신을 맞은 사람은 미접종자보다 감염 이후에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고요.br br 이 부분도 설명해 주시죠.br br [기자]br br 네, 재작년 7월부터 1년 반 동안 국내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성인 23만여 명을 분석한 민관 공동연구 결과인데요.br br 백신 접종 효과로 흔히 얘기하는 게 중증화율 낮춰준다는 거죠.br br 여기에,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같은 심혈관 질환 위험도 절반 이상 줄여준다는 겁니다.br br 2차 접종군은 미접종군보다 코로나19 감염 뒤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52, 허혈성뇌경색 발생 위험은 60 낮게 나타났습니다.br br 방역당국은 이 연구결과를 설명하면서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br br 지금까지 서울역 앞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chaletuno@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2-07-26

Duration: 03:2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