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황 부진에 배추·무 가격↑…"물가 안정 대책 추진"

작황 부진에 배추·무 가격↑…"물가 안정 대책 추진"

작황 부진에 배추·무 가격↑…"물가 안정 대책 추진"br br [앵커]br br 그동안 농산물 가격은 석유류 등 다른 공산품에 비해 비교적 덜 오르는 양상을 보이면서 일종의 물가 완충재 역할을 해왔었는데요.br br 치솟던 유가가 잠잠해지자마자 농산물가격이 전반적으로 뛰면서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br br 한지이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기상 여건에 따라 수급에 영향을 크게 받는 노지 밭작물인 배추와 무.br br 장마와 고온 다습한 날씨 탓에 출하량이 줄면서 1일 기준 배추 10kg 도매가격은 평년 가격에 비해 77.5나 뛰었고,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무 20kg 도매가 역시 평년보다 44.2 오른 2만5,260원을 기록했습니다.br br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높은 가격이 이어지자, 정부는 6∼7월에 비축한 봄배추 6,000t, 봄무 2,000t과 농협의 출하조절 시설 등을 활용해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또 최근 생산량이 줄어 가격이 높은 감자도 사전약정, 수매를 통해 가을감자와 시설감자의 재배면적을 최대 310ha 확대할 방침입니다.br br 올해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정부는 가격 안정제 정부 지원을 기존 30에서 35로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수급 상황실을 설치해가지고 매일 수급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수급 상황을 체크하고 필요한 조치들을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계속 움직이는 게 하나가 있고, 일시적으로 수급상황이 안 좋았을 때 방출하는 부분이 있고…"br br 정부는 추경을 통해 농축산물 할인쿠폰 확대하는 등 다양한 물가 안정 대책을 추진해 추석 이전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2

Uploaded: 2022-08-02

Duration: 01:4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