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달 극지방에서 산소와 연료를? 달 개척 시대 개막 / YTN

[자막뉴스] 달 극지방에서 산소와 연료를? 달 개척 시대 개막 / YTN

미국이 개발한 역대 가장 강력한 로켓, SLS입니다. br br 곧 오리온 우주선을 달로 보낼 채비를 하고 있습니다. br br SLS는 미국이 주도하고 우리나라 등 10여 개국이 참여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발사체입니다. br br 올해는 무인 달 궤도 비행, 내년에는 유인 비행, 2025년에는 사람을 달로 보냈다가 귀환시킬 계획입니다. br br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부 교수 : 여러 나라가 참여하는 국제 협력 체제를 갖추게 됩니다. 이게 근본적으로 우리가 여태까지 보아온 달 탐사와는 차이가 나는 점이고요.] br br 중국이 2년 뒤 달 뒷면 샘플 채취에 도전하는 것을 비롯해 앞으로 10년 안에 19개국과 유럽우주청이 106개에 이르는 달 탐사 미션에 도전합니다. br br 달 개척 시대의 개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br br 달에는 대기가 없어 일교차가 3백 도에 이르고, 자외선과 우주 방사선, 돌진하는 소행성에 그대로 노출돼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극지방에는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br br 분해하면 사람이 숨 쉴 때 필요한 산소와 연료로 쓰일 수 있는 수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br br 인간의 기술로 오갈 수 있는 거리에 있는 데다,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에 불과해 적은 연료로 발사체를 다른 행성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br br 때문에 아르테미스 달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 기지 건설입니다. br br 달을 전진 기지 삼아 화성을 비롯한 더 먼 우주로 나아가겠다는 겁니다. br br [빌 넬슨 미 항공우주국 NASA 국장 : 달 탐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을 화성으로 보내고 안전하게 귀환시킬 것입니다. 지금은 우주 탐사의 황금기입니다.] br br 희귀한 자원을 탐사하는 것도 달 탐사의 또 다른 목적입니다. br br 달에 쌓여 있는 헬륨3는 기술이 따라준다면 미래 청정 에너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br br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 핵융합 발전을 일으킬 때 연료로 사용하고 그것이 바로 우리가 청정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현재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대체 에너지이기 때문에….] br br 지구 저궤도를 무대로 한 우주 기술은 민간 기업에 많이 파급 됐습니다. br br 이젠 달로 향하겠다는 우주 강국들의 선언은 새로운 차원의 기술 개발을 정부가 선도하겠다는 의지의 반영입니다. br br YTN 이승은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8

Uploaded: 2022-08-04

Duration: 02:3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