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일제 맞섰던 제주 해녀들 다시 독도에..."영토 수호 밑거름" / YTN

[경북] 일제 맞섰던 제주 해녀들 다시 독도에..."영토 수호 밑거름" / YTN

우리 땅 독도에서 제주 해녀들이 물질했다는 사실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br br 일제강점기부터 계속된 이들의 활동은 어업권뿐만 아니라 영유권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했는데요. br br 제주 해녀들이 어떻게 독도에 가게 됐는지 허성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 br [기자] br 제주 해녀들이 우리 땅 독도에 발을 디딥니다. br br 거친 파도를 이겨내며 청춘의 한 때를 독도에 바친 지 60여 년 만입니다. br br [김공자 해녀 : 그때는 아침에 일어나면 바위마다 물개가 있었습니다. 동도와 서도에 돌아다니면서 미역을 채취해서 바위에서 말려서 건조한 다음에 울릉도에 가서 팔았습니다.] br br 가파른 돌산을 올라 물을 구하고, 비바람을 맞으며 잠을 설쳤던 만큼 당시 기억은 지금도 생생합니다. br br [임영자 해녀 : 바람이 일주일을 불었습니다. 일주일을 부니까 건조한 미역도 모두 떠내려가고…그때 온 사람들 고생 많이 했습니다.] br br 일제강점기 제주 해녀들은 일제의 부당한 착취에 맞서 '독도' 등지로 활동 영역을 넓혔습니다. br br 광복 이후에는 독도의용수비대가 순시선을 보내는 일본의 야욕에 맞서 독도 사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제주 해녀들을 모집했습니다. br br [남한권 경북 울릉군수 : 따지고 보면 (독도를) 실효적으로 해녀들과 함께 우리 영토를 지키고 지배했다는 그런 증거가 되는 겁니다.] br br 독도에서 활동한 제주 해녀들의 역할이 알려지면서 지자체도 관련 역사와 문화 보전 등에 나섰습니다. br br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경상북도와 제주도가) 1954년에 협약을 맺어서 울릉도·독도에서 (해녀들이) 물질을 시작했는데 다시 68년 만에 공식적으로 제주도와 경상북도가 새롭게 업무협약을 맺는다는 점이 의미가 있습니다.] br br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 제일 중요한 것은 해녀 문화를 계승·보전하는 것이고 섬의 발전을 어떻게 끌어낼 것인가 또 관광을 어떻게 활성화하느냐….] br br 경상북도와 제주도는 제주 해녀의 강인한 생명력과 정신이 우리 영토 수호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고 다양한 교류 협력을 이어가기로 약속했습니다. br br YTN 허성준입니다. br br br br br YTN 허성준 (hsjk23@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21

Uploaded: 2022-08-22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