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엔 나무가 구세주?...'숲 맹신' 말아야 / YTN

지구온난화엔 나무가 구세주?...'숲 맹신' 말아야 / YTN

온난화 영향, 알프스 빙하 하루 5cm씩 줄어들어 br 그린란드 등 북극권 툰드라 지역, 초지와 숲 생겨 br 대기 중 고농도 이산화탄소 비료 역할…성장 촉진br br br 올해 지구촌은 가뭄과 홍수 등 유례없는 기상이변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br br 일반적으로 지구온난화를 막으려면 나무를 많이 심어 이산화탄소 흡수를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br br 맞는 말이지만 숲의 확대가 반드시 온실가스 저감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br br 임수근 기자가 전합니다. br br [기자] br 기후변화와 온난화로 지구촌 빙하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습니다. br br 알프스 빙하가 하루 5cm씩 줄어들고 얼음층의 두께도 점점 얇아지고 있습니다. br br [알프스 지역 식당 주인 : 15~20년 동안에 빙하가 많이 변했습니다. 빙하 두께가 10미터나 될 것으로 기대하시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br br 전체의 85가 빙상으로 덮힌 그린란드를 비롯해 북극권에서도 얼음이 녹은 자리에 초지와 숲이 생기고 있습니다. br br 최근 조사에 따르면 북극권 8천 킬로미터에 걸쳐 툰드라 안쪽으로 숲이 확장하고 있습니다. br br 대기 중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비료 역할을 하면서 나무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br br 문제는 숲의 확장이 지구 온난화 해결의 구세주가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br br 물론 북극권의 신생 숲은 1970년대 이후 벌채로 18나 감소한 아마존 산림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br br 또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한 그루당 매일 100리터의 물을 증발시켜 대기 온도를 낮춥니다. br br 그러나 침엽수는 빛 반사율이 0.08로 빙하의 10분의 1에 불과해 태양에너지 대부분을 흡수해 열로 방출하고 있습니다. br br 특히 고위도의 나무들은 성장이 느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숲은 탄소를 빨아들이는 스펀지가 아니다." br br 숲이 지구온난화를 구할 수 있는지는 더 연구가 필요하며 아직 맹신은 금물이라고 과학자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 br br YTN 임수근입니다. br br br br br YTN 임수근 (sglim@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2

Uploaded: 2022-08-28

Duration: 01:5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