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 만에 물가 상승세 한 풀 꺾여..."상당기간 5∼6%대" / YTN

7개월 만에 물가 상승세 한 풀 꺾여..."상당기간 5∼6%대" / YTN

국제유가↓…소비자물가 상승세 7개월 만에 둔화 br 석유류 19.7↑…7월 35.1에서 상승 폭 줄어 br 외식 물가 상승률 근 30년 만에 가장 높아 br 한은 "물가, 상당 기간 5∼6대 높은 오름세"br br br 6대로 뛰었던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7개월 만에 한풀 꺾이며 5대로 내려왔습니다. br br 다만 앞으로도 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br br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이 국내 석유류 가격에 본격 반영되며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7개월 만에 둔화했습니다. br br 지난 2월 이후 계속 올라 6월과 7월 6대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5.7 상승했습니다. br br 7월의 6.3와 비교하면 지난달에는 상승률이 0.6 포인트 축소됐습니다. br br 석유류가 19.7 올라 여전히 상승 폭이 컸지만, 전달의 35.1보다는 줄었습니다. br br 휘발유 8.5, 경유는 30.4 올랐는데, 7월과 비교해 오름폭이 둔화했습니다. br br 농산물과 외식비는 지난달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 br br 호박과 배추, 오이, 파 등 채솟값이 많이 올랐고, 수입 쇠고기도 20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br br 전기료와 도시가스, 지역난방비, 상수도료도 일제히 올랐습니다. br br 외식물가 상승률은 8.8로 근 30년 만에 가장 높았는데, 치킨과 생선회 등이 크게 올랐습니다. br br 통계청은 이번 달에도 8월의 물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유가와 국제 곡물가 등 대외적 불안 요인들이 다시 악화하지 않으면 물가 상승세의 정점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지난해 9월이 비교적 높았던 데 따른 역기저효과도 어느 정도는 작용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오름세가 그렇게 확대되지는 않으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br br 물가 당국인 한국은행은 앞으로 소비자물가가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br br 정부는 추석 성수기 수요 확대와 국제 원자재 가격 움직임 등 잠재 물가 불안 요인에 대해 꼼꼼히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br br YTN 오인석입니다. br br br br br YTN 오인석 (insuko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22-09-02

Duration: 02:1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