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기자]뉴질랜드 가방 시신 용의자…“울산에 있다” 결정적 첩보

[아는 기자]뉴질랜드 가방 시신 용의자…“울산에 있다” 결정적 첩보

ppbr br [앵커]br아는 기자, 아자 시작합니다. br br뉴질랜드와 한국을 충격에 빠뜨린 여행가방 아동 시신 사건 피의자가 오늘 붙잡혔는데요. br br사회부 최주현 기자와 살펴봅니다. br brQ) br최 기자, 뉴질랜드 현지에서도 오늘 피의자가 체포되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죠. br brA) br네, 현지에서도 한국 언론을 인용해 여성의 검거 소식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br br처음 시신이 발견됐을 때부터 충격을 안겨 준 사건이었는데요. br br사건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요 br br지난달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창고 경매로 판매된 여행가방에서 7살, 10살로 보이는 어린 아이 시신이 들어있었는데요. br br어린이들의 사망 시점은 2018년으로 추정됐습니다. br br뉴질랜드 인터폴이 숨진 아이들의 엄마이자 한국계 뉴질랜드인인 40대 여성을 붙잡아 달라고 우리 경찰에 공조를 요청했고, 한 달 만인 오늘 울산에서 검거한 겁니다. brbr이 여성은 아이를 살해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하는 발언을 했죠. br br이 발언이 뉴질랜드에 전해지자 빨리 현지로 데려와 수사하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br brQ) br4년 동안 한국에 숨어 있었던 걸로 보이는데, 오늘 잡힌 피의자, 뉴질랜드가 콕 집어서 잡아달라고 한 건 가요? br brA)br취재를 해보니 처음에는 검거요청이 아니라 소재 파악 요청이었다고 합니다 br br지난달 중순에 뉴질랜드 인터폴이 우리 경찰청에 연락했을 때는 "숨진 어린이들의 친모가 없다"며 "아시아 국가들, 특히 한국 수사기관 등에서 친모 소재를 파악해달라"는 취지였다고 합니다. brbr이후 뉴질랜드 사법 당국이 아동 살해 혐의를 의심해 피의자로 전환하면서 검거에 나서게 된 걸로 보입니다. brbr여성은 2018년 7월 뉴질랜드에서 입국한 뒤, 이후로는 한 번도 해외로 출국한 기록이 없었는데요. br br경찰은 국내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 소재 파악에 나선지 한 달 만에 검거에 성공했습니다. br brQ) br결과적으로 울산에서 붙잡혔는데 우리 경찰이 어떻게 알았던 겁니까? br brA) br여성이 뉴질랜드 시민권자이고 사건도 현지에서 벌어진 거라 뉴질랜드 당국이 수사권을 갖고 있는데요. br br우리 경찰에 공조를 요청할 때 서울과 울산을 찍어준 걸로 취재 됐습니다. br br이후 서울과 울산경찰청이 첩보 수집에 나섰고, 어제 은신처 주소지 관련 첩보를 입수했다고 하고요. br br울산 중부경찰서가 곧바로 CCTV 영상을 분석하며 동선 파악에 나섰고 오늘 새벽 검거한 겁니다. br brQ) br아까 보니 용의자는 자신이 살인했다는 걸 부인하고 있던데요. brbr이건 우리가 조사할 수 있나 궁금해요.br br시청자 분께선 뉴질랜드로 추방하는 거냐고 물어오시네요. br brA)br일단 뉴질랜드에서 넘어올 수사 기록 검토가 진행되고요, 이후 우리 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합니다 br  br한국계지만 뉴질랜드 시민권자인 여성을 뉴질랜드 정부가 데려가서 수사나 처벌을 하려면 한국과 맺은 범죄인 인도 조약에 따라 45일 내로 범죄인 인도를 청구해야 합니다. br br인도 요구가 있다고 무조건 넘기지는 않고요. br br법무부와 검찰이 뉴질랜드로 보내는 게 맞는지 검토한 뒤 법원에 인도 심사를 청구해 재판을 거쳐 송환 여부를 최종 결정합니다. brbr과거 세계 최대 아동 성착취물 사이트인 '웰컴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씨가 미국 정부의 범죄인 인도 요청에 따라 법원 심사를 받았는데요. br br당시 법원은 송환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br br여성의 송환 여부도 재판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br br여기까지 살펴보고요.br br최 기자는 다음 보도 보고 다시 만나겠습니다. brbrbr br br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2-09-15

Duration: 03: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