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치솟는 원·달러 환율...'킹 달러' 현상 언제까지? / YTN

[뉴스라이더] 치솟는 원·달러 환율...'킹 달러' 현상 언제까지? / YTN

■ 진행 : 안보라 앵커 br ■ 출연 :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목요일의 남자,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홍기빈 소장님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br br 밤사이 들어온 해외 증시 상황부터 볼게요. 오랜만에 뉴욕증시가 반등했습니다. 이제 바닥 치고 올라온 것으로 해석해도 되는 건가요? br br [홍기빈] br 그건 좀 무리일 겁니다. 그 직접적인 계기가 있었는데 사실 이번 주에 가장 큰 쟁점은 영국이 불안하다였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어제 영국 중앙은행에서 국채시장의 금리 불안을 막기 위해서 저걸 하겠다, 국채 매입을 하겠다라는 소식. 그리고 양적 긴축을 좀 연기하겠다는 호재가 있어서 그게 어제 반등에는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전체 대세에 영향을 줄 만한 어떤 일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br br br 그냥 일시적인 호재로 봐야 되는 게 더 가능성이 큰 거네요? br br [홍기빈] br 네, 그러니까 큰 대세의 영향을 줄 만한 건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br br br 그렇군요. 그게 우리나라도 비슷할 것 같기는 한데 우리 금융시장을 보면 어제는 거의 블랙맨스데이라고 해야 될까요? 블루가 짙어지면 블랙이 되잖아요. 개미들의 속마음이 까맣게 타버렸는데 저도 그중의 한 명이기는 하고 증시를 볼 때마다 속이 타들어간다는 마음을 아마 시청자분들도 같이 공감하실 것 같아요. 코스피가 장중 2200선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이게 하락세인 것은 알겠는데 하락세가 이제는 얼마만큼 유지될 것이냐, 이 부분이 궁금한 것 같아요. br br [홍기빈] br 알겠습니다. 주식시장이라는 게 항상 일희일비하는 곳이긴 한데요. 지금 조금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2주 전에 미국 근원물가지수 얘기가 나왔을 때 이게 하나의 변곡점이 될 것이다. 연말까지, 또는 내년 초까지 미국의 고금리가 계속될 거다라는 말씀을 드렸고 한 두어 달 전에는 전 세계적인 부채가 제일 큰 문제다라는 말씀을 드렸는데 이 2개가 지금 충돌한 상태예요. br br 그래서 우리나라뿐만 아니고 전 세계가 이번 주에 비유를 들자면 황새가 있고 뱁새가 있잖아요. 미국 황새가 지금 너무 빨리 가기 때문에 전 세계의 뱁새들이 막 따라가다가 지금 가랑이가...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54

Uploaded: 2022-09-29

Duration: 14:1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