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하루 인출 300만 원까지만…무통장입금 한도 50만 원

ATM 하루 인출 300만 원까지만…무통장입금 한도 50만 원

ppbr br [앵커]br보이스피싱 하면 이 장소 떠오르시죠. br br사기를 쳐서 받은 현금을 ATM기로 전달책에 보내는 모습이요 br br정부가 오늘 보이스피싱 대책을 발표했는데요. br brATM기로 한 번에 큰 돈을 송금하거나 빼내지 못하게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br br다른 대책도 내놨는데, 김승희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brbr[기자]br[방문규 국무조정실장] br"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한 통신·금융분야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br br정부가 먼저 꺼내든 대책은 보이스피싱 조직 범죄에 악용되는 대포폰 개통 가능 회선수를 대폭 제한하는 겁니다. brbr현재는 한 사람의 명의로 1개 통신사당 3회선씩 총 150개 회선을 개통할 수 있는데, 오는 10월부터 총 3개까지만 가능합니다.br br범죄자가 피해자를 직접 만나 현금을 건네 받는 대면 범죄가 해마다 늘어나면서 한 번에 큰 돈을 송금하거나 빼내기 어렵게 했습니다. brbrATM에서 무통장 입금할 경우, 1회 최대 입금 한도를 기존 10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낮추고, 찾을 수 있는 한도도 하루 최대 300만 원까지로 제한합니다.br br신분증을 도용해 피해자 명의로 계좌를 만드는 비대면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 내년 하반기부터 신분증 사진과 실제 계좌신청인의 얼굴을 비교하는 안면인식 시스템도 도입합니다. br br다른 금융사의 계좌를 볼 수 있는 오픈뱅킹은 가입 후 3일간 자금이체를 차단합니다. brbr또 정부·공공기관 사칭을 막기 위해 다음달부터 이곳에서 오는 문자에는 기업로고와 안심문구가 표시됩니다. br br하지만 피해자들은 현장 대응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br br[박정경 보이스피싱 피해자] br"경찰이나 은행에 바로 신고했을 때 대응 매뉴얼이 체계적이지가 않아서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서 중구난방인 거죠. 체계적으로 피해자를 원스톱으로 도와주는 기구가 있어야 된다." brbr해마다 늘어나는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만 8천억 원에 달합니다.br br예방책과 함께 피해액 환급 등 사후 대책도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brbr영상취재: 김기범 br영상편집: 이은원br br br 김승희 기자 sooni@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2-09-29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