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에 택시 부르면 1만 원은 기본…강제휴무제도 해제

심야에 택시 부르면 1만 원은 기본…강제휴무제도 해제

ppbr br [앵커]br심야시간 택시난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나왔습니다.brbr택시를 부를 때 내는 호출료가 최대 5천 원으로 오르고. 심야 할증도 늘어납니다.br br올해엔 서울에서 송년회 끝나고 밤 11시 이후 택시를 부르면 출발 전 요금만 만 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br br이민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br[기자]br심야 택시 전쟁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택시 '강제휴무제'를 50년 만에 해제합니다.brbr택시를 늘리기 위한 고육지책입니다. br br수익이 높은 심야 시간 때만 몰 수 있게 하는 알바 택시가 도입되고, 택시 회사 취업도 범죄 경력 조회만 통과하면 일하면서 택시 면허를 딸 수 있게 문턱을 낮춥니다. br br무엇보다 심야 택시 확대 핵심은 요금인상. br br당장 이번 달부터 밤 10시 이후 택시 호출료는 최대 5천 원까지 오릅니다.brbr서울의 경우 연말인 12월부터 심야 차등 기본료가 적용돼밤 11시부터 새벽 2시까지는 최대 40의 할증이 더 붙습니다. br br택시 출발도 전에 1만 원 넘게 깔고 시작하는 겁니다.brbr여기다 내년 2월부터는 기본요금 자체도 1천 원 더 올라 4800원이 됩니다.brbr택시 기사들은 요금 인상을 반기면서도 이용객이 줄까 걱정입니다. br br[김병화 택시 운전자] br"그동안에 수입이 너무 적었어요. 이번에 (요금을 인상) 해준다 해서 택시가 심야에 더 훨씬 많아지리라 생각됩니다." br br[조재현 택시 운전자] br"택시요금만 오른다고 오르면 손님들이 부담만 가져요.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탁상행정이라고 봐요. 해봐야 알지 해보지 않고 택시요금만 올린다고 되나." br br걱정되는 건 시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br br[권리혜 서울 동작구] br"심야에는 지하철 이용하기도 쉽지 않고, 얼마 전에 (지하철) 살인사건도 있어서 위험하니까… 택시를 자주 타게 되는데, (기본료가)만 원이 넘어가게 되면 너무 비쌀 것 같아요." br br정부는 대안으로 심야버스와 올빼미 버스 같은 대중교통을 늘릴 계획입니다.brbr2년 전 퇴출했던 타다와 우버같은 플랫폼 서비스도 규제를 완화해 다시 활성화합니다. br br심야나 출퇴근 시간 때만 운영해 기존 택시와 다른 서비스를 하는 조건입니다. br br하지만 요금은 요금대로 오르고 대체 서비스는 지지부진해 귀갓길 전쟁은 달라지지는 않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7

Uploaded: 2022-10-04

Duration: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