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두 달째 상승세 둔화…외식물가는 고공행진

소비자물가 두 달째 상승세 둔화…외식물가는 고공행진

소비자물가 두 달째 상승세 둔화…외식물가는 고공행진br br [앵커]br br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반을 기록하며 상승세가 두 달째 둔화했습니다.br br 하지만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가격과 외식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br br 이재동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5.6 상승했다고 통계청이 발표했습니다.br br 이는 8월 상승률 5.7보다 0.1p 낮아진 것으로,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두 달째 상승세가 꺾인 모습입니다.br br 상승세가 둔화한 건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석유류 등의 오름폭이 다소 줄었기 때문입니다.br br 석유류 상승률은 6월 39.6로 정점을 찍은 뒤 유가 하락에 7월 35.1, 8월 19.7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습니다.br br 석유류 가격이 점차 안정화하는 추세인 반면, 농산물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입니다.br br 농산물 가격은 채소류를 중심으로 8.7 상승했는데, 특히 작황이 좋지 않은 배추와 무가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폭등했습니다.br br 풋고추와 파 가격도 각각 47.3, 34.6의 높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br br 먹거리 물가 오르다 보니 외식 물가도 더 올랐습니다.br br 개인서비스는 6.4 올라 8월 6.1보다 상승 폭을 키웠는데 상승률로는 1998년 4월 이후 가장 높습니다.br br 개인서비스는 중 외식 항목이 9나 오른 영향입니다.br br 외식 물가 상승률 9는 1992년 7월 이후 3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br br 이밖에 7월 공공요금 인상 영향으로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14.6의 오름세를 보였습니다.br br 10월에는 전기와 도시가스 등의 인상분이 반영될 예정이라 재차 오름세를 키울 전망입니다.br br 통계청은 "최근 환율 상승이 만만치 않아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분명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2-10-05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