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 분야에도 강경파 포진...'전랑 외교' 강화할 듯 / YTN

中 외교 분야에도 강경파 포진...'전랑 외교' 강화할 듯 / YTN

중국이 이번 20차 공산당 대회를 통해 시진핑 주석의 장기 집권과 권력 집중을 확정한 가운데, 외교 분야에서도 강성 인물이 발탁됐습니다. br br 이에 따라 미국이나 서방 그리고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좀 더 공세적인 외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br 강성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중국은 이번 공산당 20차 당 대회에서 이른바 외교 사령탑을 교체했습니다. br br 외교 분야 최고위직인 양제츠 정치국 위원의 내년 3월 임기 만료와 은퇴가 확정됐기 때문입니다. br br 대신 왕이 현 외교부장이 미국에 맞서는 중국의 새 외교 사령탑에 오를 것이 확실시 됩니다. br br 왕이 부장도 이른바 '7상8하'의 관례에 따르면 은 퇴 연령을 넘겼지만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습니다 br br 지난 10년간 시진핑 주석의 임기 동안 대미 강경 외교에 앞장선 공을 인정받은 겁니다. br br [왕이 중국 외교부장 (공산당 정치국 위원 확정), 지난 해 3월 : 중국의 내정에 제멋대로 간섭하는 패권적 행동을 버릴 것을 미국에 요구합니다. 이 고질병은 고쳐져야 합니다.] br br 왕이 부장의 승진으로 공석이 되는 후임 외교 부장으로는 친강 현 주미 중국 대사가 유력합니다. br br 이번에 '당 중앙'으로 불리는 중앙위원으로 발탁된 친 대사는 대표적인 강성 외교관입니다. br br 특히 과거 외교부 대변인 시절 미국을 겨냥해 거친 논평을 전담하다시피 했습니다. br br [친강 주미중국 대사 (지난 2014년 9월 ) : 오늘날의 홍콩은 1997년의 홍콩이 아닙니다. 따라서 홍콩 문제에 대해 어떤 지적을 하거나 무책임하게 논평하는 것은 모두 헛수고입니다.] br br 이번 당 대회 이후 '늑대 전사'를 뜻하는 이른바 중국의 '전랑 외교'가 다시 부각하고 있습니다. br br 미국과의 패권 경쟁 승리라는 시 주석의 목표에 맞춰 공격적 외교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 br 한국에 대해서도 경제를 지렛대로 미중 사이에서 더 분명한 선택을 요구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YTN 강성웅입니다. br br br br br YTN 강성웅 (swkang@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2-10-24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