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핼러윈이 충격의 눈물로...응급환자 현장 대응 어떻게 이뤄졌나? / YTN

[더뉴스] 핼러윈이 충격의 눈물로...응급환자 현장 대응 어떻게 이뤄졌나?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엄지민 앵커 br ■ 출연 :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이태원 압사 참사]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사고 직후 현장에서 응급환자들을 직접 치료하셨고요. 당시 희생자들을 직접 응급치료를 하신 분입니다.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결해서 좀 더 자세한 상황을 짚어보겠습니다. 의학적인 관점에서 여쭤보겠습니다. 교수님 나와 계시죠? br br [노영선] br 안녕하십니까?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노영선입니다. br br br 교수님,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또 서울대 병원으로 사상자도 이송이 됐습니다. 앞서 저희가 취재를 했고 교수님도 직접 말씀해 주셨는데 사망자 대부분이 호흡곤란, 다른 사람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서 호흡이 어려워서 사망한 게 맞습니까? br br [노영선] br 맞습니다. 이렇게 많은 인파가 우르르 몰려서 압사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는 압력에 의한 호흡곤란이 발생합니다. 외상성 질식에 의한 호흡곤란의 증상이 지속이 되면 혈액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서 청색증이 생기고 심정지에 이르게 됩니다. br br br 당시 현장에서 극적으로 목숨을 구한 생존자들 증언에 따르면 호흡곤란을 겪었다는 분들도 많았다고 하고 또 사람들 틈에 껴 있다고 쓰러진 분들도 있다고 하는데 호흡곤란이 길어지면 우리 몸에 어떤 증상이 나타납니까? br br [노영선] br 호흡곤란이 길어지면 아까 말씀드렸듯이 혈액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각 조직, 장기에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정지 발생 전에도 이미 환자들이 청색증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고 의식이 흐려지고 뇌에 산소공급이 안 되면 의식이 흐려질 수 있고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 br 당시 현장에 있었다가 극적으로 살아난 분들, 생존자분들 증언을 들어보면 마치 지하철에서 막 사람들이 가득 차서 숨을 쉴 수 없는 그런 상황이었다라고 표현을 하더라고요. br br [노영선] br 맞습니다. 사실 지하철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너무 지하철, 닫힌 공간에 과도한 사람이 있게 되면 흉각을 넓혀서 호흡을 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아마 압사 때도 비슷한 증상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br br br 그런데 좁은 공간에서 앞뒤로, 수평 방향으...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61

Uploaded: 2022-10-31

Duration: 13: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