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장비 80% 수입 의존...'칩4' 참여해야" / YTN

"반도체 장비 80% 수입 의존...'칩4' 참여해야" / YTN

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반도체를 만드는 장비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br br 장비의 원천 기술을 미국이 가지고 있는 만큼 미국 주도의 '칩4' 동맹에 참여하는 게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br br 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ASML은 네덜란드 기업으로 첨단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극자외선, EUV 노광장비를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br br 미국은 중국의 첨단 공정 전환을 막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이 장비의 중국 수출을 통제해오고 있습니다. br br 네덜란드 기업이지만 원천 기술은 미국이 갖고 있어 가능한 일입니다. br br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노광 공정이라는 것은 빛을 쏘아서 반도체의 패턴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공정입니다. 그 공정에 들어가는 기술이 미국에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br br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은 5개 업체가 80를 차지하는 독과점 구조이고, 기술 장벽이 높습니다. br br 이 가운데 3개가 미국 기업, 네덜란드와 일본이 각각 1개씩입니다. br br 반도체 장비 수입을 이들 국가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나라가 우리나라고 타이완, 중국이 그다음입니다. br br 특히 중국의 반도체 장비 수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0씩 증가해오다 올해 상반기 -1.6를 기록했습니다. br br 미국이 공식적으로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한 건 지난달이지만 이미 올해 초부터 통제가 본격화했기 때문입니다. br br 중국은 장비 수입이 막히면서 첨단 반도체 제조가 어려워졌습니다. br br [강상지 무역협회 연구원 : (중국이) 정부 재정을 들여 투자하고 있지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한계치가 14나노미터 대에 그쳤다는 것은 반도체 장비 통제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br br 중국에 공장이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장비 공급을 위해 해마다 미국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 만큼 최대 시장인 중국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무역협회는 반도체 장비의 수급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br br 그런 만큼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미국 주도의 '칩4' 동맹에 참여해야 하고 그 결과 중국의 반도체 추격도 따돌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br br 다만 이 과정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것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br br YTN 박홍구입니다. br br br br br YTN 박홍구 (hkpark@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5

Uploaded: 2022-11-05

Duration: 02:2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