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꼭! 바꾸자]이태원 경찰엔 없었던 휴대용 확성기

[이젠 꼭! 바꾸자]이태원 경찰엔 없었던 휴대용 확성기

ppbr br [앵커]br저희가 준비한 기획보돕니다. brbr'이젠 꼭! 바꾸자’ 참사 당일 목이 터져라 외치던 경찰관 모습을 기억하시죠.brbr주점에서 쏟아진 엄청난 음악이 비명도 호소도 가려버린 밤.br br왜 확성기 하나 없이 뛰어들었어야 했을까.br br 김지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brbr[기자]br참사 당일, 이태원 거리. br br시끄러운 음악과 군중들의 소리 때문에 정상적인 대화가 불가능할 정도였습니다. br br경찰관이 할 수 있는 일은 목이 터져라 외치는 것뿐이었습니다. br br[현장 출동 경찰관] br"안 돼요. 이쪽으로 가세요. 다 빠지세요, 얼른. 빠지세요. 도와주세요, 제발." br br민생 치안을 담당하는 지구대와 파출소에 확성기와 스피커가 아예 없었던 겁니다. br br[지구대 근무 경찰관] br"경찰관서에 구비된 확성기나 메가폰은 없습니다. 순찰차에 확성기와 경광등, 사이렌이 있죠. 그런데 그건 순찰차에 내장돼 있는 거고요. 현장으로 진입을 아예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니까 무용지물이었죠." br br전문가들은 극도의 혼잡 상황에 인파 관리를 하려면 지향성 스피커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br br통상 사용되는 방사형 스피커는 소리가 분산돼 버리지만, 지향성 스피커는 직선으로 방출합니다. brbr[김정곤 한국재난정보학회 재난기술연구소장] br"경찰관이 아무리 확성기를 들고 했더라도 아마 정보 전달에는 문제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향성 스피커) 최대 장점 중 하나는 주변 소음에 상관없이 멀리까지 음을 보낼 수 있다." br br국지성 재난문자인 안전안내문자를 선제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br br[김정곤 한국재난정보학회 재난기술연구소장] br"(기지국을 통해) 얼마나 사람들이 좁은 곳에 밀집해 있는지 추정한 다음 사고 위험성이 높은 지역 정보에 대해 경고해줄 수 있는 문자 형태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brbr관련 기술은 코로나19 안내 문자로도 이미 활용되고 있는 만큼, 인파 관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해 보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지윤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2-11-06

Duration: 02:1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