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째 일자리 증가 폭 둔화…"내년엔 10분의 1"

5개월째 일자리 증가 폭 둔화…"내년엔 10분의 1"

5개월째 일자리 증가 폭 둔화…"내년엔 10분의 1"br br [앵커]br br 일자리가 20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증가폭이 5개월째 둔화하고 있는데요.br br 세계 경제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내년에는 취업자 증가폭이 지금의 10분의 1토막이 난다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br br 이은정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10월 기준 1년 전보다 늘어난 취업자 수는 67만7,000명.br br 취업자 증가세는 20개월째 이어지고 있지만, 증가 폭은 5월 정점을 찍은 뒤 감소일로입니다.br br 고물가·고금리에 수출마저 꺾인 경기상황이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친 겁니다.br br "경기라든지 수출이라든지 이런 지표들이 좋지 않으니까…뿌리 산업이 아직까지 받쳐주고 있다 보고 있고, 그게 언제 반영돼서 더 꺾일는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br br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0만1,000명 늘며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고, 늘어난 여행과 모임에 숙박·음식점업은 2014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을 나타냈습니다.br br 반면, 도·소매업과 금융, 보험업 취업자 수는 감소했습니다.br br 15세 이상 고용률은 1년 전보다 1.3포인트 오른 62.7로 1982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습니다.br br 수치만 보면 지금 고용시장은 안정적인 듯하지만, 문제는 앞으로입니다.br br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내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올해의 10분의 1 수준인 8만 명대가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습니다.br br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가 취업자 수 감소로 귀결된다는 겁니다.br br "생산가능인구와 인구구성비 등 인구구조 변화는 취업자 수 감소 요인으로 전환되며 인구구조 변화에 노동공급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될 전망입니다."br br 다가올 노동공급 문제를 해결하려면 여성, 외국인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하고, 출산율 제고 등 인구대책이 시급하다고 KDI는 조언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2-11-09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