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상황 더 나빠질 듯"...서울 아파트 입주율 두 달 연속 90% 미만 / YTN

[자막뉴스] "상황 더 나빠질 듯"...서울 아파트 입주율 두 달 연속 90% 미만 / YTN

서울 반포동에 있는 140가구 규모 도시형 생활주택입니다. br br 지난 7월 준공했는데, 입주율이 20 정도에 불과합니다. br br 분양 당시 전용면적 49㎡ 분양가가 15억~18억 원 수준으로 높았는데도 모두 팔릴 만큼 인기를 끌었던 곳입니다. br br 하지만 금리가 치솟고 임차 수요가 줄면서 분양을 받은 사람들이 잔금을 치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br [시행사 관계자 : 전세 맞춰서 대부분 금액을 전세로 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계셨던 것 같은데, 지금 시장 상황이 원하는 만큼 전세가가 맞춰지지 못하다고 판단하신 것 같아요.] br br 아파트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br br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입주율은 86.5로 8월 89.1에 이어 두 달 연속 90 미만입니다. br br 전국은 72.6로 전달보다 4.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br br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 거래 절벽에 따른 기존 주택 처분이나 세입자 확보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잔금 마련에 차질이 생긴 수분양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보입니다.] br br 미입주 증가뿐 아니라 곳곳에서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br br 신규 아파트 초기 분양 기간에 실제 계약이 체결된 가구 수 비율을 뜻하는 초기 분양률 역시 내림세입니다. br br 올해 3분기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초기 분양률은 92.7로 직전 분기보다 7.3포인트 떨어졌습니다. br br 전국 초기 분양률 역시 하락하고 있는데, 3분기에는 82.3로 크게 낮아졌습니다. br br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대출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 더해지고, 일각에서는 '집값 하락론'까지 제기되면서 청약 시장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입니다.] br br 늘어나는 미입주·미분양 물량은 건설업계에도 걱정거리입니다. br br [건설사 관계자 : 건설사 입장에서 좋지 않은 상황이고요. 지금 당장은 큰 문제가 없겠지만, 장기화할 경우 자금 수급과 향후 예정 분양 물량 등 계획을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br br 내년에도 금리 인상 기조와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상황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br br YTN 최기성입니다. br br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06

Uploaded: 2022-11-10

Duration: 02:3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