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에 부동산 시장 '한파'...한인들도 고충 / YTN

미국, 금리 인상에 부동산 시장 '한파'...한인들도 고충 / YTN

미국에선 담보대출 금리 인상으로 주택 매입 부담이 커지면서 매매 시장에 찬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br br 이 때문에 한인 동포들을 비롯한 실수요자들은 임대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치솟는 임대료에 이래저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br br 보스턴에서 양수연 리포터입니다. br br [기자] br 미국에서 12년째 부동산 중개업자로 일하는 신보경 씨, br br 최근 눈에 띄게 줄어든 주택 매매량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br br 통상 매년 3분기는 부동산 거래가 활발한 시기지만 올해는 사정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br br [신보경 부동산 중개업자 : 보스턴도 마찬가지로 다른 때에 비해서 현저히 매물의 수가 적은 상황입니다. 신축도 많이 중지된 상태이고요.] br br 지난 9월 미국 내 주택 매매량은 471만 건으로, 2020년 5월 이후 최저입니다. br br 코로나19 확산이라는 돌발변수에 매수 심리가 크게 얼어붙었던 기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10년 만에 가장 적은 겁니다. br br 집값은 지난 7월부터 두 달 연속 내려갔지만 구매 희망자들은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br br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상한 여파로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평균 고정금리가 7를 돌파했기 때문입니다. br br [김현아 (가명) 미국 보스턴 : 금리가 너무 올라서 30년 고정금리가 7.5 정도가 되면 제가 거의 한 달에 천 달러 이상을 더 부담해야 하는데 지금 이 상태로는 제가 감당이 안 될 것 같아요.] br br 이처럼 주택 매입이 어려워지자 수요는 임대 시장으로 몰려, 임대료는 고공행진 중입니다. br br 지난달 기준으로 보스턴에 있는 침실 한 개짜리 집의 월평균 임대료는 3,060달러(약 430만 원), 휴스턴은 1,390달러(약 200만 원)에 이릅니다. br br 한 달 만에 각각 약 6와 4.5나 뛰어올랐습니다. br br 특히 기숙사에 들어가지 못한 유학생들은 1,400원대를 오르내리는 고환율에 물가 상승, 임대료 부담까지 더해져 사면초가에 놓였습니다. br br [민주홍 유학생 : 집 자체 구하는 게 예전 비교하면 좀 더 어려운 건 사실이고요. 임대료도 오르고 물가 자체도 오르다 보니까 유학생 입장에서는 이것저것 생각할 것도 많고….] br br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연방준비제도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경고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br 금리가 계속 오른다면 집값이 정점에서 10~15 떨어지고, 주택 시장이 2차대전 이후 두 번째로 크게 무너질 수 있단 겁니다. br br 하지만 미국 연방... (중략)br br YTN 양수연 (jminlee1012@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2-11-12

Duration: 03:1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