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막아라"...야생멧돼지 '폐사체 예측지도' 도입 / YTN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막아라"...야생멧돼지 '폐사체 예측지도' 도입 / YTN

최근 전국 각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br br 국립공원 내 야생멧돼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체로 반갑지 않은 손님인데요, 야생멧돼지의 폐사체가 나올만한 곳을 예측하는 지도가 개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br br 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치악산 국립공원 중턱에 있는 한 웅덩입니다. br br 바로 옆 둔덕엔 야생멧돼지 비빔목이 있습니다. br br 산벚나무 밑동에서 1m 높이까지 진흙이 묻어있습니다. br br [김광립 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처 : 멧돼지들이 진흙 목욕을 한 다음에 여기 와서 진드기라든가 이물질을 떨궈내기 위해서 여기 와서 비비는 비빔목입니다. 여기가.] br br 최근 전국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이 이어지자 국립공원공단도 비상 체제 들어갔습니다. br br 가장 중요한 건 바이러스 노출 위험이 큰 폐사체 확보입니다. br br [이정봉 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처 과장 : 폐사체 한 마리가 나왔잖아요. 이쪽 공원 경계에서 보니까 4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요.] br br 자주 다니는 길목엔 포획트랩을 설치합니다. br br 트랩의 발판을 밟으면 강철로 된 줄이 튀어 올라 멧돼지의 발목을 감아서 포획합니다. br br 야간에도 서식지 주변으로 열화상 드론을 띄워 일거수일투족을 촘촘히 감시하고 있습니다. br br 여기에 최근 폐사체를 과학적 분석기법으로 찾아내는 폐사체 발생 예측지도도 도입됐습니다. br br 그동안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좌표 1,400곳과 각 좌표별 환경변수 10개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완성했습니다. br br 폐사체 발생 가능성을 1~4등급으로 나눠 17개 국립공원에서 다섯 달가량 시범 운영해 49건을 찾아냈습니다. br br 특히 전체 공원 대비 22에 불과한 예측지도 1~2등급 지역에서 65인 32건을 발견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br br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 멧돼지 폐사체 발생 예측도 이외에도 다양한 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차단에 최대한 노력하겠습니다.] br br 국립공원은 수색 담당자들의 휴대전화 지도에 예측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해 폐사체 수색체계를 재정비할 예정입니다. br br ytn 최명신입니다. br br br br br br YTN 최명신 (mscho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1

Uploaded: 2022-11-18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