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막말' 담화 vs 통일부 "도적이 매 드는 식" / YTN

김여정 '막말' 담화 vs 통일부 "도적이 매 드는 식" / YTN

■ 진행 : 나경철 앵커 br ■ 출연 : 왕선택 한평정책연구소 글로벌센터장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이번 주 북한 관련 뉴스 정리해드리는 북한 리포트입니다. 이번 주에도 북한과 관련한 많은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한평정책연구소 왕선택 글로벌외교센터장과 관련 소식 점검해 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br br [왕선택] br 안녕하세요. br br br 이번 주에 북한 김여정 부부장의 거친 담화가 굉장히 이슈가 됐습니다. 방금 전해 드렸지만 천치바보, 사실 입에 담기도 불편하기도 했는데 북한이 더 큰 도발을 예고한 걸로 봐야 될까요? br br [왕선택] br 그런 요소가 일부 있지만 전체적으로 봐서는 지금 상황에 대해서 반응하거나 대응하는 의미가 좀 더 강하다, 이렇게 보고 싶습니다. br br 담화는 한 건이 아니고 두 건이 나왔죠. 22일날 또 24일날. 22일날 건 UN 안보리가 지난번에 북한이 ICBM을 쏜 것에 대해서 제재를 논의한 것에 대한 불만 표명이었고요. br br 24일날 나온 것은 우리 정부,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서 독자제재를 발표한 게 있습니다. 거기에 대해서 강렬하게 윤석열 정부를 비난하는 내용인데 북한 입장에서 봤을 때 UN 안보리의 움직임이나 한국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서 반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있습니다. br br 가만히 있으면 그야말로 제재를 그냥 순응해서 받는다, 이런 표시가 되기 때문에 이럴 때는 북한이 무력시위를 통해서 반발을 했는데 이번에는 그냥 말폭탄 정도로 대응을 했다. 그래서 수위 조절이 됐고. 또 하나는 우리 남쪽 정부에 대해서 정말 입에 담기 어려운 극렬한 용어를 사용하기는 했는데 예전보다는 그래도 수위가 조절된 겁니다. br br 이런 걸 볼 때 북한의 담화는 더 큰 도발을 예고했다기보다는 더 큰 도발을 위한 명분 쌓기, 수순 밟기 이런 차원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br br br 김여정 부부장의 도발 담화 표현 수위를 예전보다는 조금 덜하다. br br [왕선택] br 예전보다는 수위가 조절됐습니다. br br br 평가를 해 주셨는데 지금 김여정 부부장의 발언에 대해서 우리 통일부가 강하게 비판을 했습니다. 적절한 대응이라고 보십니까? br br [왕선택] br 지금 강하게 비판을 했다고 하셨는데 전체적인 대응 수위는 우리 정부도 조절이 됐...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0

Uploaded: 2022-11-26

Duration: 15:2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