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후 생산 최대 감소…뚜렷해진 경기 둔화

코로나 사태후 생산 최대 감소…뚜렷해진 경기 둔화

코로나 사태후 생산 최대 감소…뚜렷해진 경기 둔화br br [앵커]br br 실물 경기지표들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br br 지난달 산업생산은 3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소비도 두 달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br br 계속되는 고물가·고금리 충격 속에 본격적인 경기 둔화 국면에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br br 이재동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반도체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이지만 11월 들어 20일까지 1년 전보다 30 가까이 수출액이 급감했습니다.br br 세계적인 고물가와 경기 침체 여파로 인한 정보기술 제품 판매 감소가 주요 부품인 반도체 수요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br br 반도체 수요 부진에 따라 관련 장비 생산이 줄었는데, 이 점이 10월 산업생산을 1.5나 끌어내린 핵심 요인이 됐습니다.br br 감소 폭으로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겁니다.br br 소비도 두 달째 악화했습니다.br br 특히 음식료품을 포함한 비내구재 판매는 늘었지만, 승용차 같은 내구재 수요는 4.3 줄었습니다.br br 경기가 어려워지면 생필품이 아닌 소비는 줄인다는 불황형 소비 심리가 드러나는 대목입니다.br br "그래도 지금 내수와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인 것 같거든요. 소비와 내수가 얼마나 활력을 유지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고요."br br 설비투자가 제자리 걸음 하며 '트리플 감소'를 겨우 피했지만 이마저도 하락세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옵니다.br br "산업은행 설비투자조사 계획을 보면 30가 반도체에요. 반도체 쪽이 안 좋다면 투자도 안 될 가능성이 있어요."br br 이태원 참사에 따른 소비 위축과 화물연대 파업 등 돌발 악재들이 산적한 우리 경제가 이미 혹한기에 진입했다는 우려가 많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5

Uploaded: 2022-11-30

Duration: 02:1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