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카메라]차갑게 식은 후원…더 귀해진 한 끼

[현장 카메라]차갑게 식은 후원…더 귀해진 한 끼

ppbr br [앵커]br 메리 크리스마스. 즐거운 연말 보내시라, 기원하는 말이 무색한 곳들도 있습니다.br br 유난히 춥고 외로운 연말을 지내야 하는 곳. br br 김예지 기자가 현장카메라에서 찾아가봤습니다. brbr[기자]br체감기온이 영하 십도 밑으로 떨어져 몹시 추운 날인데요. br br제 뒤로 긴 줄이 늘어서 있습니다. br br강추위 속에 줄을 서가며 무엇을 기다리는 걸까요. br br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br br두터운 외투를 입어도 칼바람에 몸이 움추려 듭니다. br br1시간 넘게 기다린 뒤에야 검은 봉지 하나를 건네받습니다. br br[현장음] br"따뜻할 때 얼른 드세요." br br앉는 자리가 바로 식당입니다. br br아침을 먹고선 도시락을 주는 또다른 급식소로 가야합니다. br br도시락을 못받으면 저녁은 굶어야 합니다. brbr창동, 남양주. br br급식소 앞엔 자리를 맡아놨다는 종이박스가 놓여 있습니다. br br[무료 급식소 이용객] br"(몇 시에 오셨어요?) (새벽) 4시 50분. 먹고 살려니까." brbr[무료 급식소 이용객] br"아침에 여기서 (주먹밥) 타고, (점심은?) br여기서 먹고. 저녁은 도시락 타서 먹고." br br90을 훌쩍 넘긴 할머니도 종이박스 하나에 의지해 점심 급식을 기다립니다. br br[무료 급식소 이용객] br"(연세 어떻게 되세요?) 93세. 집에서 7시에 나왔어. 돈이 한 푼도 없어. 돈 안주고 먹으니까 여기로 와." br br[현장음] br식권이 떨어졌어요. br br불과 몇 명 차이로 어르신들 희비가 엇갈립니다. br br의지할 가족도, 쓸 돈도 없지만 따뜻한 말 한마디에 위로를 받습니다. br br[현장음] br건강하세요. br br[무료 급식소 이용객] br"보잘 것 없는 할머니를 사랑해주셔. 그래서 더 나오고 싶어. 혼자 사니까 누구 말할 사람도 없잖아." br br이처럼 나와야만 하는 이유는 뭘까. br br9년째 쪽방촌에 살고 있는 86세 김 씨 할아버지. br br한평 남짓한 방엔 물을 끓일 전기포트도 없습니다. br br[김 씨 할아버지] br라면 하나 삶아먹고 싶어도 좁아서 안돼요. br br구청에서 나온 지원금은 방값 빼면 남는 게 없습니다. br br[김 씨 할아버지] br"한달에 24만 7천원 나오는데 거기서 20만 원 (방값) 주고 남는 거 가지고 아주 급한 거만 쓰는 거예요." br br찾아오는 사람은 꾸준히 늘지만 무료 급식소는 앞날이 깜깜합니다. br br불경기 여파에 올해 후원은 지난해 3분의 1 수준입니다. br br[고영배 사회복지원각 사무국장 ] br"작년 같은 경우는 소고기도 자주 해드리고 했는데 소고기는 한달에 한 번 정도 해드리고 돼지고기로 많이 바꿨고요. 싼 채소 위주로." br br1주일도 채 남지 않은 2022년, br br우리 사회의 한 쪽에선 여느 때보다 더 혹독한 연말을 맞고 있습니다. br br[김 씨 할아버지] br"연말되면 좀 쓸쓸하죠. 이제는 자꾸 나 자신의 희망을 잃어가는 거 같아요. 이제 희망이 별로 없어요." br br[자광명 무료 급식소 관계자] br"저분들이 40~50대 때 여기 줄 서서, 꿈에서나 생각했겠어? 나도 10~20년 후면 저분들과 똑같은 거야." br br현장카메라 김예지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424

Uploaded: 2022-12-25

Duration: 03:3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