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되짚어보는 '2022년 한국 경제'...새해 경기 전망은? / YTN

[뉴있저] 되짚어보는 '2022년 한국 경제'...새해 경기 전망은? / YTN

■ 진행 : 박석원 앵커 br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가 있는 저녁]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쇼미더경제' 시간입니다. 2022년 우리 경제는 고물가 충격과 잦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유난히 힘든 상황에 직면했는데요.올 한 해 경제 이슈 되짚어보고 새해 경제상황도 전망해 보겠습니다. 정철진 경제평론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br br [정철진] br 안녕하십니까? br br br 올해 경제 관련 뉴스를 전하면서 가장 많이 얘기했던 게 기준금리 인상. 빅스텝이다, 자이언트스텝이다 굉장히 얘기를 많이 했었는데 글로벌 긴축기조 1년간 어떻게 보셨습니까? br br [정철진] br 그렇습니다. 금리 인상의 한해 이렇게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요. 그런데 정말 놀라운 것은 우리가 1월로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갔을 때 당시의 기준금리를 보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면모입니다. br br 미국 같은 경우에는 1월만 해도 제로금리, 0에서 0.15대였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1대였습니다. 이것이 이제 굉장히 강력한 가속도가 붙은 금리인상이 나왔던 건데요. 미국은 0.75포인트를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이라고 불리죠. 이걸 4번 연속 단행합니다. br br 그리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빅스텝 0.5포인트 인상한다는 건데요. 한국은행 역사상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빅컷, 인하는 있었지만 인상은 없었는데 무려 이 빅스텝을 2번이나 밟는 이런 기준금리 인상의 한 해였다고 볼 수 있는데. 왜 그랬을까요? 이유는 아주 명확합니다. br br 그만큼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이 극심했던 한해였다고 볼 수 있겠고. 올 여름으로 돌아가 보면 미국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9대, 우리나라는 6대. 그야말로 20년 만에, 미국은 1980년대 이후 찾아오는 그런 인플레이션. 이것을 보고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맞섰던 한해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br br br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기준금리 인상. 왜 그랬을까 원인은 뭘까인데. 물가는 왜 오른 겁니까? br br [정철진] br 크게 한 4가지 정도의 요인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돈이 많이 풀렸다고 볼 수 있어요. 크게 보면 2008년 말 세계금융 위기 이후에 양적 완화를 통해서 중앙은행이 계속 돈을 공급했고요. 그리고 여기에 2020년 터진 코로나19에 이제 재정을 쏟아붓습니다. br br 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2

Uploaded: 2022-12-28

Duration: 14:2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