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사상 처음' 20% 넘었다...자동차 소비 양극화 심화 / YTN

[자막뉴스] '사상 처음' 20% 넘었다...자동차 소비 양극화 심화 / YTN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차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벤츠 E클래스 모델입니다. br br 평균 가격이 8천만 원이 넘는데 2만 8천 대 이상 판매돼 현대차 산타페보다도 많이 팔렸습니다. br br 반면 국내 프리미엄 브랜드 모델인 제네시스 G80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20 줄었습니다. br br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해 생산이 지연되는 가운데서도 독일 업체들이 전략적으로 한국시장 배정 물량을 늘린 결과입니다. br br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수입차 업체는) 본사가 물량 배정을 많이 해줬다는 점이 판매가 늘어난 이유로 볼 수 있는 거고 반면에 국내 제조사는 여러 가지 차종을 공급했기 때문에 그만큼 프리미엄 차종의 공급이 조금 부족했다….] br br 프리미엄 시장에서 국산차 대신 수입차를 택한 고객이 늘면서 지난해 현대차와 제네시스 판매량은 전년 대비 8.4, 3.5 감소한 반면, 벤츠는 6.2, BMW는 19.6 증가했습니다. br br 또 국산 차는 가격이 저렴한 중소형이나 경형 모델 위주로 판매가 증가한 데 비해, 수입차는 벤츠와 BMW의 고가 모델이 많이 팔렸습니다. br br 자동차 소비의 양극화가 더 심화한 것입니다. br br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 (수입차 시장의 성장은) 고급 모델들이 주도했고 이것은 소득의 양극화 문제(와 관련이 있고요) 그 다음에 수입 고급차 모델들은 선택지가 다양하고 기존에 구매했던 분들이 국산 모델로 이동하지 않는 이유가 크다고 봅니다.] br br 여기에다 국내 자동차 시장의 한 축을 담당하던 쉐보레와 르노코리아 판매량은 해가 갈수록 급감하고 있습니다. br br 전년 대비 감소 폭이 2021년에 30를 넘었고, 지난해는 각각 13와 29가 줄어 2년 만에 반토막이 났습니다. br br 그 결과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승용차 144만 대 가운데 29만 대가 수입차로 집계돼 처음으로 20를 넘었습니다. br br 올해는 저렴한 중국산 전기차까지 수입될 가능성이 있어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박홍구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5

Uploaded: 2023-01-08

Duration: 02:2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