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전기차 화재 "불안"…'열폭주' 대안없나

잇단 전기차 화재 "불안"…'열폭주' 대안없나

잇단 전기차 화재 "불안"…'열폭주' 대안없나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br br 배터리에 불이 붙으면 이어 고온으로 열이 치솟는 일명 열폭주 현상으로 진화에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br br 전기차 이용에 불안이 커지고 있는데 대안은 없는지 이화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br br [기자]br br 중앙선을 넘어 교통사고를 낸 뒤 도로 한복판에 멈춰 선 차에서 불길이 솟아 오릅니다.br br 지난 9일 밤 세종시 국도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입니다.br br 그보다 이틀 전 서울 성동구의 한 서비스센터에 맡겨진 전기차에서도 불이 나 차를 완전히 태우고 약 3시간 만에 꺼졌습니다.br br 모두 열폭주에 진화가 쉽지 않습니다.br br 열폭주란 리튬이온 배터리가 과충전, 고온 등의 환경에서 순식간에 수백 도 이상 고온으로 치솟는 현상입니다.br br 열폭주에 소방은 이동식 소화수조 등을 이용하는데 내연기관차와 달리 열을 식히는 데 오래 걸립니다.br br 때문에 일부 건물에선 화재 진압의 어려움을 들어 전기차 이용에 우려를 표합니다.br br "지하주차장에서 불이 나서 끄지 못하는 상태로 계속되면 그 어마어마한 유독가스라는 게 건물로 다 퍼지지 않겠어요. 전기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될 때까지만 당분간 이제 보류를 하자"br br 불안한 건 차주도 마찬가지.br br "충전할 때 차 안에 좀 많이 있는데 이제 '어 이거 배터리 잘못해서 막 터지면 어떡하지'라는 근거 없는 그런 걱정이 들기도 하고"br br 온라인에서도 전기차 화재가 무섭다며 반응이 담긴 게시글이 여럿입니다.br br 전문가는 진압 설비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이는 게 최선이라고 설명합니다.br br "열폭주에 대해 완전히 진압할 수 있는 어떤 방법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면 운전자들이 실제 충전율을 85선으로 낮춰 완충을 피하고 급속 충전보다는 완속 충전을 한다면…"br br 전기차 이용이 늘고 있는 상황에 화재 진압 설비를 개발하고 또 상용화하는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고 조언합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 (hw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8

Uploaded: 2023-01-11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