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강제징용’ 해법에…‘구상권 포기’ 내건 일본

韓 ‘강제징용’ 해법에…‘구상권 포기’ 내건 일본

ppbr br [앵커]br어제 우리 정부가 '제3자를 통한 변제'를 강제징용의 해법으로 처음 공식화했죠.br br야당과 피해자 단체 등은 '굴욕 외교'라면서 맹비난 했습니다. brbr일본은 우리 정부의 해법이 나쁘지 않다면서도, 구상권 포기 같은 선결 조건이 이뤄져야 한다며 신중한 반응도 보이고 있습니다.br br도쿄에서 김민지 특파원입니다. brbr[기자]br우리 정부가 '제3자를 통한 변제'를 해법으로 제기한 지 하루 만인 오늘 한일 외교 장관이 15분 간 전화 회담을 가졌습니다. br br일본 언론은 박진 외교부장관이 하야시 일본 외상에게 강제징용 해법에 대한 설명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br br방일 중인 정진석 한일의원연맹 회장도 기시다 내각의 2인자인 마쓰노 관방장관을 만났습니다. br br[정진석 한일의원연맹회장(국민의힘 비대위원장)] br"일본 측의 성의 있는 호응도 (필요하다고)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r br일본 정부는 한국의 해법이 현실적이라며 평가하면서도, br br[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어제)] br"한일 관계를 건전한 형태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습니다." br br배상금을 일본 피고 기업에 요구하는 '구상권'을 포기하는 것을 선결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br br일본의 한 소식통은 채널A에 "북한의 핵 무력 도발, 중국의 대만 침공 우려 등의 상황에서 일본 정부도 한국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동감한다"고 밝혔습니다. br br다만, 전범 기업들은 별 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고, 일본 정부도 고노 담화 등 과거 정부의 과거사 사과 발언 계승에 그치는 등 소극적인 호응 조치에 대한 우려가 나옵니다. br br강제 징용 문제 해결은 한일 관계 회복의 첫 단추입니다. br br하지만 일각에서는 배상의 책임이 있는 일본 전범 기업들의 참여 없이 진정한 해결이 될지 우려도 나타납니다. br br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 brbr영상취재: 박용준 br영상편집: 강 민br br br 김민지 기자 mettymom@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408

Uploaded: 2023-01-13

Duration: 02:1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