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 회귀 연어 줄어…귓속뼈로 원인 연구

태화강 회귀 연어 줄어…귓속뼈로 원인 연구

태화강 회귀 연어 줄어…귓속뼈로 원인 연구br [생생 네트워크]br br [앵커]br br 울산 태화강 생명의 상징으로 꼽히는 것이 연어인데요.br br 돌아오는 개체 수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지만, 환경 변화 등으로 원인을 추정만 할 뿐입니다.br br 어린 연어 귓속뼈 문양을 통해 회귀 연어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개체 수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br br 김근주 기잡니다.br br [기자]br br 어란부화기에 치어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습니다.br br 부화한 지 한 달가량 지난 연어인데, 본능적으로 인공 물살을 거슬러 유영합니다.br br 이곳에서 자란 어린 연어들은 해마다 봄이 되면 태화강에 수십만 마리씩 방류돼 바다로 갑니다.br br 하지만 회귀한 연어 개체 수는 2014년 1천827마리에서 최근 몇 년 사이 200마리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br br 해양 수온 상승과 기후변화, 인공구조물 등이 회귀 연어 감소의 주된 이유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br br 태화강생태관은 이석, 즉 연어 귓속뼈를 이용해 회기 주기와 이동 거리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br br 수정란 부화 과정에서 수온을 조절하면 나무 나이테와 비슷한 이석 무늬가 생기는데, 이 고유한 무늬가 나이와 출생지 등을 알려주는 것입니다.br br "해역 어딘가에서 연어가 포획이 됐을 경우에 보다 정확하게 회기 경로를 알 수 있고, 향후에 연어의 모천으로서 태화강 연어의 재산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br br 연어 회귀 주기는 2년에서 5년.br br 태화강생태관이 2020년 처음 방류한 이석 무늬 연어가 최근 돌아온 만큼 관련 연구가 활발해질 전망입니다.br br 첫 분석 자료는 다음 달 공개될 예정입니다.br br 연합뉴스 김근줍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3-01-14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