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만 20명 중 1명 ‘고립 청년’…“편의점 빼고 외출 안 해”

서울에만 20명 중 1명 ‘고립 청년’…“편의점 빼고 외출 안 해”

ppbr br [앵커]br은둔형 외톨이, 일본에선 '히키코모리'로 불리며 사회적 문제가 됐죠. br br옆나라만의 이야기 아닙니다. brbr우리도 서울에만 12만 9천 명의 고립, 은둔형 청년이 있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br br꿈과 활력을 잃어버린 그들을 김예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brbr[기자]br3년간 나홀로 생활을 해온 서른 살 정모 씨. br br생필품을 사러 편의점에 가는 것 빼고는 집밖을 나가는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br br대화도 편의점 직원과 계산할 때 뿐이었습니다. br br[정모 씨 30세] br"사람이랑 대화를 안 하니까 이제 사람들하고 말하는 게 무섭기도 하고." br br28살 김모 씨의 은둔 기간은 더 길었습니다. br br통풍에 걸리면서 7년 가까이 꼭 필요한 외출 외에는 방에만 있었습니다. br br[김모 씨 28세] br"무기력해지고 무슨 일이든지 하기가 좀 싫어지더라고요." br br두 사람은 지난해부터 서울시 지원 센터에서 함께 먹고 자고 생활하며 일상 생활을 되찾고 있습니다. brbr[정모 씨 30세] br"5일 정도 안 씻고, 그냥 집에만 있으니까. 여기서는 맨날 일어나면 러닝 갔다 오면 무조건 씻고." br br서울시가 지난해부터 만 39살 이하 청년들과 청년이 있는 가구를 조사한 결과 6개월 이상 정서적 물리적으로 고립된 고립 은둔 청년은 전체의 4.5에 달했습니다. br br서울시 인구에 적용하면 12만 9천 명에 이르는 겁니다. br br고립 은둔 생활의 원인으로는 실직 또는 취업의 어려움을 꼽은 응답자가 45.5로 가장 많았습니다. br br심리적,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brbr[김옥란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장] br"청년을 왜 도와줘야 되나라는 사회적 시각이… 아프거나 경제적인 위기가 닥치거나, 누구든지 고립으로 향할 수 있거든요." br br서울시는 단순 상담에서 벗어나 대학병원과 협약을 맺고 지원 사업을 체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 brbr영상취재 : 김기열 br영상편집 : 유하영br br br 김예지 기자 yeji@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3-01-18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