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와이드] 성균관, 설 차례 간소화 강조…"전 안 부쳐도 된다"

[토요와이드] 성균관, 설 차례 간소화 강조…"전 안 부쳐도 된다"

[토요와이드] 성균관, 설 차례 간소화 강조…"전 안 부쳐도 된다"br br br 명절 고민 중 하나가 차례상 준비가 아닐까 싶습니다.br br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지난 추석 때처럼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제시했는데요.br br 최영갑 성균관유도회 총본부 회장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br br 3년 만에 거리 두기 없이 맞는 설 연휴에 차례상 어떻게 차려야 하나, 고민하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추석에 이어 간소화된 설 차례상이 다시 발표됐습니다. 기존 차례상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br br 음식의 가짓수와 종류, 위치까지 정해져 있다는 게 차례상에 대한 통념이었죠. 그런데 이런 내용들이 사실상 출처가 불명확하다고 하는데요. 실제 그렇습니까?br br 떡국과 나물, 과일 등 아홉 가지 음식 정도면 충분하다는 게 성균관의 입장인데요. 차례상에 올리는 이 아홉 가지 음식에는 어떠한 의미가 담겨있는 건가요?br br 해마다 명절이면 조상에 대한 예의를 명분으로 과도한 차례상이 차려지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푸짐한 차례상이 조상에 대한 예의에 맞지 않다는 겁니다. 조상들의 차례상은 어땠는지, 왜 변질이 된 걸까요?br br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즉석식품이나 반찬으로 끼니를 때우는 문화가 익숙해지면서 간편식을 이용해 차례상을 차리거나 그대로 올릴 수 있는 상차림 세트를 이용하는 가정도 늘고 있다고 해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br br 이번에 성균관에서 제안한 것은 명절 약식 제사인 차례에 관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정식 제사에서도 비슷한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을까요?br br 설에는 세배를 하므로 올바른 인사 예절도 중요할 텐데요. 세배 때 하는 절은 '전배'로, 유치원생들의 '배꼽인사'로 잘 알려진 공수 인사법이라고 하죠?br br 보통 우리가 절을 하면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하고 어르신에게 덕담을 건네기도 하는데, 이건 예의에 어긋난다고 하더라고요. 아랫사람도 한마디 축원의 말씀을 드리고 싶은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할까요?br br 우리의 미풍양속인 명절 차례는 긴 세월을 지나오면서 진정한 의미와 정통성을 잃어버리고 격식에 허례까지 더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3-01-21

Duration: 1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