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없는 복합위기인데...정부가 안 보인다 / YTN

전례 없는 복합위기인데...정부가 안 보인다 / YTN

中 ’제로 코로나’ 포기…경기 반등엔 시간 필요 br 한국은행,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유력 br 자본시장·부동산 정책 외 단기 대책은 ’실종’br br br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최근엔 내수 회복세마저 주춤한 상태입니다. br br 복합 경제 위기가 현실화했다는 우려가 작지 않은 상황인데 대응 최전선에 있어야 할 정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중국은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24, 수입의 25를 차지한 최대 교역국입니다. br br 문제는 최근 들어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br br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br br 지난해 중국 경제 성장률은 3에 그쳤습니다. br br 중국 정부의 목표치 5.5에 크게 미치지 못했습니다. br br 지난해 연말엔 사실상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포기했지만, br br 그 온기가 경제 현장에 전달되기까진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br br [주 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중국이 작년 말부터 풀었으니까 올해 한 1분기까지는 중국이 어렵고 그럼 우리 수출은 중국으로 가는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전체적으로 감소할 것이고….] br br 우리 경제의 밥줄이나 다름없는 수출의 부진이 장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배경입니다. br br 수출은 줄었는데 수입은 늘어나며 무역수지 적자 행진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이번 달에도 적자를 기록하면 1997년 이후 25년 만의 10개월 연속 적자입니다. br br [이승한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 (지난 13일) : 중국의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확진자가 굉장히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국 실물경제 쪽이 아직은 정상화되지 않은 모습이 우리 수출 실적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민간소비 회복세마저 더뎌졌습니다. br br 기준금리가 1년 5개월 만에 3포인트나 급등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내수의 힘찬 반등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br br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더 낮춰잡는 걸 검토하는 배경입니다. br br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지난 13일) : 앞으로 국내 경제는 성장세 둔화가 이어지면서 올해 성장률이 지난 12월 전망치 1.7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br 전례 없는 복합 위기가 국내 경제를 위협하고 있지만, 정부의 모습을 찾긴 쉽지 않습니다. br br 채권... (중략)br br YTN 조태현 (choth@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33

Uploaded: 2023-01-21

Duration: 02:5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