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기자]북극보다 더 추웠다…유독 춥게 느껴진 이유

[아는기자]북극보다 더 추웠다…유독 춥게 느껴진 이유

ppbr br [앵커]br아는 기자, 아자 문화스포츠부 정윤철 기자 나왔습니다. brbrQ. 정 기자, 어제 김태욱 기자가 체감 온도 영하 27도가 2000년 이후 2번째로 추운 거라고 했는데, 실제 그렇게 추운거죠, br그런데 내일 더 추워요? brbr네, 그렇습니다. '냉동고 한파'라는 말이 꼭 들어맞는 하루였는데요. brbr전국에 한파 특보가 내린 오늘, 서울 최저 기온은 영하 16.7도, br br체감 온도는 2000년 이후 역대 두번째로 낮은 영하 27.2도를 기록했습니다. brbr그런데 내일은 오늘보다 더 춥습니다. br br전국 최저 기온이 영하 24도에서 영하 9도인데요. br br서울은 아침 기온이 영하 18도까지 뚝 떨어집니다. br br설 연휴를 마친 뒤 첫 출근길부터 체온 유지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할 것 같습니다. brbrQ. 어쩌다 동북아시아가 북극보다 더 춥게 된 거에요?br br네, 우선 이번 한파의 출발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brbr영상에서 보시는 것처럼 용기에 담긴 면이 추위에 그대로 얼어붙었고요. br br가판에 내놓은 생선은 꽁꽁 얼어버렸습니다. br br영하 50도까지 떨어졌던 러시아 야쿠츠크의 모습인데요.brbr이렇게 시베리아 상공에 오래 머물면서 차곡차곡 쌓인 찬 공기가 빠르게 남하하면서 동아시아에 한파가 몰아친 겁니다.br br기상청에 따르면 한파를 몰고온 공기는 5km 상공의 온도가 영하 40도 이하라고 하는데요. brbr그러다보니 찬 공기가 빠져나간 북극 지역은 영하 30도 내외를 기록한 반면, 직접적 영향권에 있는 중국과 한국 등에선 기록적 한파가 발생한 겁니다.brbrQ. 원래 추운 게 겨울이지만 이렇게 추운 건 뭐 올해만 독특한 일이 벌어진 건가요? brbr네, 원래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는 '삼한사온'이라고 해서 추위와 따뜻한 날씨가 반복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br br2년 전에도 서울이 영하 18.6도까지 떨어진 적이 있을 정도로 1월의 한파가 이례적인 건 아닙니다. brbr다만 이번엔 찬공기가 너무 빨리 유입된 것과 더불어, 한파 직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기 때문에 더 추위를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br br또 강한 바람으로 인해서 체감온도가 떨어진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brbrQ. 확실히 바람이 문제더군요. 바람은 왜 이렇게 부는 거에요? brbr기압 분포를 보시면 등압선이 한반도 주위로 촘촘하게 형성돼 있는데요. br br간격이 좁을 수록 강한 바람이 분다는 뜻입니다. brbr이처럼 바람이 강한 건 찬 공기일 수록 하강 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요. br br공기가 빠르게 지표면에 부딪힌 뒤 강한 바람을 일으키는 겁니다. br br우리가 높은 곳에서 미끄럼틀을 타고 하단부로 내려온 뒤에도 직선 구간에서 빠른 속도가 유지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brbr대신 한반도를 습격한 한파는 빠르게 지나갈 전망입니다. br br유입된 찬 공기가 한반도에 머물러 있던 공기를 빠른 속도로 대체 중인 건데요. br br이 과정이 끝난 뒤엔 바람의 강도가 잦아들기 때문에 체감온도는 상대적으로 올라갈 걸로 전망됩니다. brbrQ. 남은 겨울 많이 추울까요? *또 이런 한파가 오는지 시청자분들이 궁금해 하십니다.br br네, 강추위는 내일 정점을 찍은 뒤 이후에는 다소 주춤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br br하지만 이번주 내내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다, 목요일에는 서울 등 중부지방에도 눈 소식이 있어서 br계속해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br br br 정윤철 기자 trigger@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360

Uploaded: 2023-01-24

Duration: 03:3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