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담화 계승은 가닥…‘日 성의 있는 호응’ 주목

사과 담화 계승은 가닥…‘日 성의 있는 호응’ 주목

ppbr br [앵커]br강제징용 풀어보자, 한일 양국이 분주한데요.brbr일본 정부가 식민 지배에 대해 재차 사과하는 방식으로 가닥이 잡혀는 가고 있는데요. br br그 사죄를 누가 할 것인지가 관건입니다. br br이다해 기자가 보도합니다. brbr[기자]br도쿄에 이어 서울에서 다시 만난 한일 외교 국장의 회담은 예정 시간을 넘겨 3시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br br[서민정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국장] br"앞으로도 고위급을 포함한 다양한 레벨에서 외교당국간 긴밀한 소통을 지속하기로 했습니다." br br우리 정부가 일본 피고기업 대신 일제강제징용피해자지원재단이 조성한 기금으로 보상하는 방안을 해법으로 공식화한 가운데, 일본 측이 '성의 있는 호응'을 보이는지 여부가 핵심 관건입니다. br br이런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과거 정부의 식민지 통치 사죄 담화를 계승하는 수준의 성의 표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br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당시 일본 총리가 식민지배에 대해 사죄했던 '무라야마 담화'나, 1998년 현재 한일 우호 관계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한다는 뜻을 피력해 간접적인 사과를 하겠다는 겁니다. brbr 그러나 일본은 피고 기업에 배상금 반환을 요구하는 구상권을 포기하는 것을 선제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고,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전범 기업의 참여에도 소극적인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 또 사과 발표의 주체를 놓고도 논의했지만 총리와 관방장관 사이에서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여전히 '기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한편 일본 측은 오늘 회담에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배상 문제가 해결됐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 brbr영상취재: 김기범 br영상편집: 강민br br br 이다해 기자 cando@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3-01-30

Duration: 01:4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