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활용 방안 논의 '잠잠'...대통령 행사도 변수? / YTN

청와대 활용 방안 논의 '잠잠'...대통령 행사도 변수? / YTN

■ 진행 : 이광연 앵커, 박석원 앵커 br ■ 출연 : 김철희 사회1부 기자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Q]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청와대 개방 열기가 한풀 꺾일 동안 물론 정부도 손 놓고 있었던 건 아닙니다. 처음엔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처럼 만들겠다는포부까지 밝혔는데 이게 생각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김철희 기자와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벌써 2년째네요. 시간이 참 빠른데 리포트 보니까 김 기자도 청와대 여기저기 둘러봤겠어요? br br [기자] br 그렇습니다. 청와대 문이 열렸던 게 지난해 5월이니까 시간이 꽤 지났는데요. 제가 개방 첫날에 당시 청와대 중계 담당이어서 생중계를 했던 기억이 있는데 그 당시에 정말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청와대에 출입하려고 긴 줄이 늘어서기도 했고요. br br 아까 리포트에 잠깐 나왔지만 시작하자마자 많은 사람들이 청와대로 몰려들면서 정말 발 디딜 틈 없을 정도였는데요. 심지어 또 몰려든 관광객 때문에 경내 훼손 우려가 제기됐을 정도였습니다. br br 살펴 보니까 바로 하루 만에 불전함이 훼손돼서 사람이 너무 많은데 청와대 관리가 너무 안 되는 것 아니냐, 이런 우려가 제기됐을 정도였는데요. 제가 여덟 달 만에 다시 청와대를 찾았더니 전혀 다른 공간이 돼 있었습니다. 추운 날씨를 감안한다고 해도 사람이 거의 없다시피 했던 건데요. 저희끼리 관람객 수가 안내해 주시는 분들과 비슷한 것 같다, 이런 우스갯소리도 나눴을 정도였습니다. br br br 그러니까 지금 방금 나간 화면은 지난해 5월 상황인 거고요. br br br 당시에 또 봄이기도 했었고 지금은 또 날씨 춥고 눈이 많이 와서 우연히 관람객들이 적은 것 아니냐, 이런 생각도 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br br [기자] br 아마 계절적 요인이나 날씨 요인이 분명히 영향을 줬을 것은 같습니다. 저희가 통계를 살펴보니까 관람객이 점점 줄어가는 추세가 있는 것은 분명해 보였는데요. br br 앞서도 잠시 살펴보셨지만 실제 개장 직후였던 5월과 6월에는 5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청와대를 찾았었는데 관람객 수가 꾸준히 줄더니 지난해 12월에 11만 명 수준까지도 떨어졌습니다. br br 보시는 것처럼 7월과 9월 사이에도 꾸준히 떨어지는 추세에 있다가 10월에 잠깐 회복이 되기도 ... (중략)br br YTN 김철희 (kchee2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3-02-01

Duration: 09:5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