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밀린 K배터리의 반격…보급형 공략 시동

중국에 밀린 K배터리의 반격…보급형 공략 시동

중국에 밀린 K배터리의 반격…보급형 공략 시동br br [앵커]br br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저가형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중국 업체들의 주력 상품인 LFP(엘에프피) 배터리가 대세로 떠올랐기 때문인데요.br br 국내 업체들도 대응에 나섰습니다.br br 김종력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함께 배터리 시장도 계속 커지는 중입니다.br br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전체 판매실적은 690GWh로 재작년과 비교해 약 76 성장했습니다.br br 문제는 닝더스다이 CATL을 중심으로 한 중국 업체들은 약진한 반면, K배터리의 성장세는 주춤해졌다는 겁니다.br br 지난해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이 39.1로 1위를 지켰고, LG에너지솔루션은 2위 자리는 유지했지만, 점유율은 13.3에 그쳤습니다. LG에 삼성 SDI, SK온의 점유율을 합쳐도 CATL에 미치지 못합니다.br br CATL과 K배터리의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진 건데, 저가형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중국 업체들의 주력 상품인 LFP배터리가 대세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br br LFP배터리는 K배터리 주력 상품인 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주행거리가 짧고 무거운 단점이 있지만, 가격이 20 정도 저렴합니다.br br "전기차 충전기가 상당히 많이 보급되면서 충전 주행거리에 대한 갈증이 좀 해소됐고, 저가형 전기차의 보급이 필요한데 이에 따라 LFP 배터리의 판매가 상당히 늘었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br br 그러자 국내 업체들도 LFP배터리를 양산하거나 가격을 낮추기 위해 코발트를 빼고 망간 비중을 높인 배터리를 개발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br br 프리미엄 배터리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보급형 시장도 공략하겠다는 겁니다.br br 여기에 내후년 K배터리 3사의 미국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점유율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3

Uploaded: 2023-03-05

Duration: 02: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