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징용' 즉답 피해...대통령실 "충분히 사과" / YTN

기시다, '징용' 즉답 피해...대통령실 "충분히 사과" / YTN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공동기자회견에서 강제징용 해법안에 대한 호응 조치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습니다. br br 하지만 대통령실은 김대중-오부치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만으로도 충분한 사과라고 해석했습니다. br br 일본 태도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박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물꼬를 튼 건 한국이 내놓은 강제징용 문제 해법안입니다. br br 윤 대통령은 지난 2018년 대법원 판결이 앞선 협정 내용과 다르다며, br br 구상권 행사도 상정하지 않고 있다고 못 박았습니다. br br [윤석열 대통령 : 2018년에 그동안 정부의 입장과 또 정부의 65년 협정 해석과 다른 내용의 판결이 선고가 됐습니다. 구상권 행사라는 것은 상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br br 국내 부정 여론이 확산하는 가운데 시선은 기시다 총리 입으로 향했습니다. br br 기시다 총리는 김대중-오부치 담화를 언급하며 역사인식에 대해 같은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지만, br br 일본 측의 호응조치를 묻자, 앞으로 하나씩 해 나가겠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br br 강제징용 피해를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표현하며 시각차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br br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앞으로도 양국에서 자주 공조하고 하나하나 구체적인 결과를 내고자 합니다.] br br 대통령실은 역대 일본 정부가 50여 차례 사과한 바 있고, 이번에도 담화를 계승한다고 한 말에 이미 사과가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그러면서 미래세대를 위해서 새로운 역사적 창을 열었다는 측면에 대해 평가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 br br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br br 한국에 대한 호응조치는커녕 오히려 일본의 요구가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 br br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교수 : 호응 조치라는 것을 아직은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그냥 드러낸 발언이었고요. 앞으로도 계속 아쉬움으로 남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을 계기로 일본의 요구는 더욱 강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br br 대통령실은 충분한 사과라고 평가했지만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끌어내진 못했다는 지적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br br YTN 박서경입니다. br br br br br YTN 박서경 (psk@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3-03-16

Duration: 02:2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