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경제] 생산자물가 석 달 연속 상승...소액생계비 대출 3주 만에 만5천여 명 신청 / YTN

[굿모닝경제] 생산자물가 석 달 연속 상승...소액생계비 대출 3주 만에 만5천여 명 신청 / YTN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br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br br br 오늘 굿모닝 경제는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하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br br br 생산자물가가 발표가 됐습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1 상승을 했습니다. 큰 폭은 아니긴 하지만 그래도 소비자물가에 안 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이런 우려가 있습니다. br br [이인철] br 그렇습니다. 생산 현지 물가이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이 되는데 일단 전월 대비 석 달 연속 상승세입니다. 생산세인데 생산 폭이 둔화되고는 있습니다. 그런데 그 요인을 따져보게 되면 농산물 가격 조금 내렸고요. br br 그리고 에너지 가격이 내렸어요. 그런데 우리 방송 시작 전에 얘기했잖아요. 휘발유 가격은 왜 저렇게 빨리 오르냐고. 정말 국제유가 상승분을 너무 빨리, 시차도 없이 바로 반영하거든요. 그런데 유류세 인하할 때 봤잖아요. br br 비싸게 받아놓은 재고 때문에 2~3주 정도 시차를 두고 반영이 됩니다, 이랬거든요. br 그런데 똑같습니다. 지금 생산자물가지수를 보게 되면 전월 대비 0.1 상승에 그쳐서 상승세가 둔화되긴 했지만 석 달째 오름세이고 1년 전과 비교하게 되면 3.3예요. br br 그러니까 모처럼 4 아래로 내려왔요 9개월째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는데 내용을 따져봤더니 농산물, 그리고 산업도시용 가스와 같은 에너지 가격이 내렸지만 여전히 불안한 게 뭐냐. 공산품하고 서비스 가격이에요. br br 그런데 이 공산품하고 서비스 가격의 특징은 뭐냐. 전반적으로 한 번 오르면 잘 내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서비스 가격 가운데 음식, 숙박업, 화학제품, 다 올랐습니다. 그런데 내린 것을 보니까 경유, 등유를 중심으로 해서 석탄, 에너지 가격이 좀 떨어졌고요. br br 농산품도 0.9 하락을 했는데 사실 농산품은 극과 극이에요. 돼지고기, 닭고기는 두 자릿수 넘게 올랐지만 농산물 반입량이 늘어난 풋고추가 43 떨어지면서 또 수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기록하고 있고 그런데 문제는 국내에서의 출하되거나 수입되는 상품의 서비스 가격을 변동 측정하는 국내 공급물가...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3-04-20

Duration: 10:3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