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평당 1억' 호가 판교 랜드마크...모두가 속았다 / YTN

[자막뉴스] '평당 1억' 호가 판교 랜드마크...모두가 속았다 / YTN

지난해 8월 입주를 시작한 경기 성남시 판교역의 한 상업형 오피스텔 건물입니다. br br 분양 당시 평당 1억 원이 넘는 높은 단가를 자랑하던 곳인데, 알고 보니 이 건물에 쓰인 핵심 자재가 불량품이란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br br 문제가 된 자재는 벽과 천장의 마감재를 붙일 때 설치하는 철골 자재인 '건축용 강재 받침재'입니다. br br 지난 2021년 경기 이천 쿠팡 물류센터 화재 당시 마감재가 쉽게 떨어져 인명 피해가 커진 만큼, 이 자재는 녹슬지 않고 불이 붙어도 잘 타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br br 그러기 위해선 철의 산화를 막는 아연의 역할이 중요해서,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자재의 최소 아연 함량을 12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br br YTN이 확보한 이 건물 천장의 '건축용 강재 받침재' 시험 결과지입니다. br br 아연 함량이 기준치보다 낮은 108밖에 되지 않습니다. br br 심지어 벽체 받침대의 아연 함량은 기준치의 반 토막인 66에 불과합니다. br br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자재 아연 함량 부족에 대해 '중결함'이라고 지적했습니다. br br 쓰면 안 될 정도의 결점이 있는 건축 자재라는 겁니다. br br 아연이 기준보다 떨어지면 건물 수명이 단축되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br br [송창영 광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철근 부식이 굉장히 빨리 이루어지는 거죠. (KS 기준으로) 아연 함량을 정해놨는데 그 함량이 미달한다는 것은 그만큼 건물의 수명이 더 단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거죠.] br br 이 상가의 시공사는 국내 최대 대기업 계열사입니다. br br 판교역 랜드마크라는 홍보를 믿었던 투자자들은 배신당했다며 분통을 터트립니다. br br [A 씨 초기 투자자 : 초기에 판교의 명품, 이런 주상복합으로 홍보해서 고분양가로 분양했는데 현재 알고 보니까 불량 자재, 저급 자재를 사용하니까 답답함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br br 시공사는 KS 인증 확인과 감리 승인 등 정상 확인 절차를 거친 뒤 제조사에서 자재를 받아 쓴 것뿐이라며 br br 문제를 파악하고 안전 관리 조치를 하겠다고 해명했습니다. br br 현재까지 계약 취소를 원하는 투자자는 140여 명, 이들은 조만간 시행사와 시공사를 상대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할 예정입니다. br br YTN 강민경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7K

Uploaded: 2023-04-26

Duration: 02: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