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소멸 위험"...세계적 인구학자의 출산율 해법은? / YTN

"한국, 국가소멸 위험"...세계적 인구학자의 출산율 해법은? / YTN

우리나라가 '인구소멸 1호 국가'가 될 거란 예상을 내놨던 옥스퍼드대 콜먼 교수가 우리나라의 저출산 상황이 더 악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콜먼 교수는 해법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br br 세계적인 인구학자가 제시한 해법은 무엇일까요? br br 신윤정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br br [기자] br "대한민국의 저출산 문제가 지속한다면 지구 상에서 사라지는 첫 국가가 될 것이다." br br 지난 2006년, 유엔 인구포럼에서 우리나라 인구감소의 심각성을 일깨웠던 세계적인 인구학자, 데이비드 콜먼 교수. br br 16년이 흐른 지금,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세계 꼴찌 수준까지 떨어졌고, 이 전망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습니다. br br [데이비드 콜먼 영국 옥스퍼드대 인구학 명예교수 : 한국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고 이대로라면 궁극적으로 한국은 사라질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서 인구 구조상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br br 일본과 타이완 등 가파른 경제 성장을 이룬 동아시아 국가들도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데, 비슷한 문화가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 br br 가부장적 가족문화로 여성에게 일과 가사, 육아가 집중되고, 긴 근무시간 속에서 자녀의 교육까지 여성 몫이 되면서 결혼과 출산을 꺼린다는 겁니다. br br [데이비드 콜먼 영국 옥스퍼드대 인구학 명예교수 : (동아시아에서는) 좀 더 남성 중심의 가족 문화가 있고 여성들은 일과 양육을 동시에 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은 출산율이 회복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br br 콜먼 교수는 이에 따라 저출산 문제의 해법을 '양성평등'에 초점을 맞춘 문화적인 변화를 통해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조언합니다. br br [데이비드 콜먼 영국 옥스퍼드대 인구학 명예교수 : 지금 가장 큰 방해 요인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문화에 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있어서 어떤 전통적이고 고질적인 고정관념들이 유지되고 있고….] br br 또 높은 출산율의 선진국을 보면 출산의 30 이상이 비혼출산이라며, 비혼출산을 포함한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이 필수라고 강조합니다. br br 콜먼 교수는 저출산 해결에는 기업들의 역할도 중요하다며,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한 근무환경, 정시 퇴근문화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br br YTN 신윤정입니다. br br 촬영기자 : 윤지원 br 그래픽 : 황현정 br br ※... (중략)br br YTN 신윤정 (yjshin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3-05-19

Duration: 02:3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