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원윳값 인상 협상 시작...'밀크플레이션' 우려 / YTN

우유 원윳값 인상 협상 시작...'밀크플레이션' 우려 / YTN

지난해 젖소용 배합사료 가격 23 상승 br 최근 2년간 낙농가 3백여 곳 폐업·빚 21 증가 br 낙농진흥회 소위, 우유 원유 가격 협상 시작br br br 낙농가와 유업체가 올해 우유 원윳값을 정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습니다. br br 지난해 사룟값이 껑충 뛴 상황이 올해 반영돼야 해서 인상이 불가피합니다. br br 이르면 8월부터 인상 예정인데, 각종 가공식품 가격까지 들썩이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br br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br 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국제 곡물가가 급등해 젖소용 배합사료 가격이 1kg에 평균 645원으로, 한 해 전보다 23 가까이 올랐습니다. br br 낙농가 경영난은 심화해 최근 2년간 폐업 가구가 3백여 곳에 이르고 빚도 21 늘었습니다. br br 이런 상황에서 낙농가와 유업체로 구성된 낙농진흥회가 우유 원유 가격을 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br br 지금은 국제 곡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원유 인상 폭 결정의 근거는 통계청의 지난해 우유 생산비입니다. br br 최근 발표된 지난해 우유 생산비는 1L에 958원으로, 한 해 전에 비해 14 가까이 올랐습니다. br br 우유 생산비 증가액의 70는 사료비 증가에 따른 겁니다. br br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데, 올해는 원유 1L당 69~104원 범위에서 가격 인상을 논의합니다. br br 1L당 49원이었던 지난해 인상폭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이에 따라 유제품은 물론 커피음료 가격도 줄줄이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그 파급 효과는 원윳값 인상 폭을 훨씬 넘어설 수 있습니다. br br 지난해의 경우 원윳값은 5대 소폭 인상됐지만 흰 우유 가격은 10, 아이스크림은 10~20 올랐습니다. br br 소비자단체들은 유통과 가공 단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br br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2016년부터 5년간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지불하는 흰 우유 가격에서 생산자 비중은 평균 41로 절반이 안되고, 유통이 35.6, 가공업체는 23.5로 나타났습니다. br br [홍연금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2021년 우유 가격 토론회) : 실제 원유 가격이 올라갔다고 해서 가격이 올라가는데, 마진율이 유통 쪽이 훨씬 올라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계속 원유 가격 연동제만 말씀을 많이 하시는데 유통 쪽도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br br 원유 가격 인상은 빵이나 과자 등 가공식품 가격 인상도 촉발할 가능성이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br ... (중략)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6

Uploaded: 2023-06-10

Duration: 02:3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