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국가 중 유일...초고령사회 앞두고 '최악 지표' [Y녹취록] / YTN

한국, OECD 국가 중 유일...초고령사회 앞두고 '최악 지표' [Y녹취록] / YTN

국내 66살 이상 고령자 상대 빈곤율 43.2 br 한국, OECD 국가 중 유일한 40대 빈곤율 기록 br "고령자 10명 가운데 4명, 중위소득 50 이하"br br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br ■ 출연 : 허준영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앵커 노년빈곤이 사회적 문제가 된 지 오래됐는데 우리나라 은퇴 연령층 빈곤율이 OECD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고 하더라고요. br br ◆허준영 40인데요. 중위소득보다 이하인 가구의 비중인데요. 40니까 호주나 미국, 일본 같은 20 국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선진국 국가들에 비해서 훨씬 높고요. 사실 40가 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br br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모든 것들이 맞물려 있는 것 같습니다. 노인빈곤율이 높다 보니까 노인들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높은 상황이고요. 그러면 왜 이렇게 노인빈곤율이 높냐를 생각해 보면 예를 들어서 노인소득을 아주 보전을 많이 해 주는 것이 공적 연금 부분인데 저희가 생각할 수 있는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 같은 것인데 이 부분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가 15년밖에 안 됐고 사실은 소득대체율이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br br 예를 들어서 내가 일할 때 소득의 평균 대비 연금액이 얼마나 되느냐를 해 보면 평균이 한 40 정도인데 지금 실제적으로는 40보다 훨씬 낮습니다. 작년 같은 경우는 한 달에 한 50만 원 정도, 평균 58만 원 정도라고 하더라고요. br br 그런 측면에서는 공적 연금 쪽에서의 소득이 굉장히 약하고 결국 지금 어떻게 보면 은퇴에 들어가는 베이비부머 세대들 같은 경우에는 사실 부모로부터 자산 축적 같은 것의 혜택을 누린 세대가 아니고 또 한편으로는 자식들에 대해서 교육은 굉장히 많은 신경을 쓴 세대라서 그 부담이 큰 세대고. br br 자기들의 노후는 어떻게든 간에 공적 연금 플러스 자신들이 알아서 해야 되는 거의 첫 번째 세대. 왜냐하면 그 전 세대는 사적부양이라는 게 있었잖아요. 자식들이 부양을 하거나 이런 것들이 있었으니까요. br br 그런 첫 번째 세대라는 측면에서는 지금 은퇴연령 초반에 계신 분들, 혹은 60대 후반에 계신 분들, 이분들의 빈곤율 문제가 굉장히 뼈아프게 여러 부분과 맞닿아서 뼈아프게 다가올 수 있다고 봅니다. br br br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18

Uploaded: 2023-06-26

Duration: 01:4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