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모든 국민이 어려진다"...내일부터 만 나이 통일 / YTN

[뉴스라이더] "모든 국민이 어려진다"...내일부터 만 나이 통일 / YTN

만 나이로 통일한다더니 대체 언제부터야 하셨던 분들 많으시죠. 바로 내일부터입니다. br br 모든 국민이 한 살 어려지겠네요. br br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된 '만 나이 통일법'이 내일(28일)부터 시행됩니다. br br 다만, 예외인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br br 어떤 점이 달라지는 건지 정리해 봤습니다. 화면 함께 보시죠. br br 우리나라에서 나이를 세는 방식은 총 세 가지였습니다. '한국식 나이'와 '연 나이', 그리고 '만 나이'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렇게 여러 방식으로 나뉘다 보니 혼란도 있었죠. 이런 부분을 바로 잡겠다는 겁니다. br br 만 나이는 어떻게 계산하느냐, 기존과 같습니다. br br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겁니다. 그대로 지금 나이가 됩니다. br br 다만, 계산 시점에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1년을 더 빼야겠죠. 사실상 모든 국민이 '한국식 나이'에서 한두 살 어려지게 되는 겁니다. br br 법제처는 '만 나이' 통일법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발생했던 사회적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다만 현재도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제도들이 대부분이어서 크게 바뀌는 건 없습니다. 선거를 할 때나 연금을 받을 때, 또 근로자의 정년을 계산할 때나 경로 우대 대상인지를 판단할 때도 현행대로 만 나이가 기준입니다. br br 아예 예외인 부분도 있습니다. br br 학교에 처음 입학하는 나이, 술이나 담배를 살 수 있는 나이에는 만 나이를 쓰지 않고요. 병역 관련 사항이나 공무원 시험 응시 연령 계산 역시 만 나이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br br 정부가 만 나이 셈법 사용을 권장하기는 하지만, 민간에서 한국식 나이를 사용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지금처럼 한국식 나이를 기준으로 칠순 잔치, 팔순 잔치를 연다고 불이익을 받거나 벌금을 물진 않는 것처럼요. br br 다만 친구들과 싸울 필요가 없어지겠죠. 법제처는 "만 나이 사용이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모두가 어려지는 '만 나이 통일법'. 이런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네요. 지금까지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이정진 (leejh092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53

Uploaded: 2023-06-26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