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인하 러시 계속?…열쇠 쥔 제분업계는 미지근

가격 인하 러시 계속?…열쇠 쥔 제분업계는 미지근

가격 인하 러시 계속?…열쇠 쥔 제분업계는 미지근br br [앵커]br br 라면을 시작으로 제빵, 제과 업체도 줄줄이 가격을 내리고 있습니다.br br 하락한 국제 밀값을 반영하란 정부와 소비자단체의 압박 때문인데, 정작 제조업체들에 밀가루를 공급하는 국내 제분업계는 요지부동입니다.br br 서형석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신라면 50원 인하로 시작된 이번 가격 인하 움직임.br br 농심은 제분업체에서 공급받는 밀가루 가격이 7월부터 5 인하될 예정인 것을 이유로 들었습니다.br br 그런데 제분회사는 펄쩍 뜁니다.br br 농심에 납품량이 많아진 점을 고려해 현금 지원을 늘린 것일 뿐, 밀가룻값을 내린 게 아니란 겁니다.br br 이 계약도 여러 달 전 이미 결정된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br br 결국 국내 밀가룻값은 요지부동인 상태에서, 라면과 빵, 과자 등 가공제품 제조사들이 등 떠밀리듯 가격 인하를 발표했다는 이야기입니다.br br 전문가들은 제분업계가 실제 납품가를 내리지 않으면 모처럼 불붙은 가격 인하 움직임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고 지적합니다.br br "원재료가가 내려도 가격에 지금 반영되지 않는 부분들이 문제인데 국제 밀 값이 인하가 된다고 하면 제분업계가 밀가루 가격 인하를 해서 소비자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부분들이 필요…."br br 관세청에 따르면 밀 수입 가격은 지난해 9월 t당 평균 496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지난달 416달러까지 15 넘게 떨어졌습니다.br br 농림축산식품부는 밀 거래 가격이 떨어진 만큼 7월부터는 시중 밀가루도 가격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국내 제분업계는 지난 26일 정부와 가격안정화 간담회에서도 합의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검토 중이란 말을 되풀이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 (codealph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2

Uploaded: 2023-06-29

Duration: 01: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