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납북자의 눈물..."국제사회 의지 모아 北 태도 변화 견인" / YTN

잊혀진 납북자의 눈물..."국제사회 의지 모아 北 태도 변화 견인" / YTN

6·25 납북자 약 10만 명…지식인이나 젊은 남성 br 그동안 생사조차 알 수 없었고 정부서도 외면받아 br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납북자 문제 첫 명시 br 국가안보전략도 北 인도적 문제가 주요 추진과제br br br 6·25 납북자 문제는 그동안 북한과 대화나 관계개선을 우선하는 정책에 밀려 외면당해온 게 현실입니다. br br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납북자 문제 같은 북한 인권문제를 당당히 제기하면서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br br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6·25 때 북한으로 끌려간 납북자 수는 약 10만 명. br br 주로 북한의 체제 확립이나 선전에 필요한 지식인이나 전쟁을 수행할 젊은 남성들이었습니다. br br 하지만 지난 70여 년간 상봉은커녕 생사조차 알 수 없었고, 월북자라는 주홍글씨까지 찍혀 정부로부터도 외면받았습니다. br br [이상일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 (지난달 28일) : 나라 경제 형편이 좋아지면 납북자 유가족들을 도와주리라 굳게 믿으며 어려움을 이겨왔습니다.] br br 윤석열 정권 들어 정부는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br br 지난 4월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납북자와 국군포로 해결이 처음으로 명시된 데 이어 지난달 발간한 국가안보전략에서도 북한의 인도적 문제 해결을 남북관계 정상화의 주요 추진과제로 꼽았습니다. br br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지난달 7일) : 인도적 현안 안에는 인권문제, 이산가족 문제, 북한 억류자 문제, 국군포로 문제, 납북자 문제도 포함되겠습니다.] br br 이를 위해 미국,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와 함께 힘을 모아간다는 전략입니다. br br [권영세 통일부 장관(지난달 28일) : 한·미, 한·미·일 정상회담, 유엔 인권결의안 등을 통해 납북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지를 확인하고, 북한의 책임 있는 태도 변화를 견인해나갈 것입니다.] br br 특히 김영호 통일부 장관 지명자도 북한 인권문제를 대북정책의 주요 의제로 삼아야 한다는 견해를 거듭 밝힌 만큼 정부의 대북정책 내 비중도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br br YTN 신현준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신현준 (shinhj@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91

Uploaded: 2023-07-01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