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카르텔'과 전쟁 선포에도..."고소득이 학원비 더 써" / YTN

'사교육 카르텔'과 전쟁 선포에도..."고소득이 학원비 더 써" / YTN

정부가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발표하며 내놨던 이른바 '킬러 문항' 논란에 불안해진 학부모들이 학원을 더 찾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특히 고소득일수록 학원비 지출이 많이 증가했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습니다. br br 엄윤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정부가 사교육 업계의 이권 카르텔을 지적하며 발표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킬러 문항' 배제 조치. br br 공교육 경쟁력을 높이고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애초 취지가 무색하게 학부모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고 3 학부모 : 준비하는 아이들 입장에서는 여기저기 눈치 보게 되고, 자기가 하던 페이스도 잃어버리게 되는 것 같아서….] br br [고 3 학부모 : '킬러 문항' 없앤다 없앤다 하는데, 마음이 불안하니까 자꾸 학원 쪽으로 가게 되는 것 같아요.] br br 학원가에도 당장 넉 달 앞으로 다가온 수능을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묻는 전화가 쏟아집니다. br br [이상무 영어학원 원장 : 학원에도 앞으로 어떻게 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의가 많은 것 같고요. 조금 다른 방향으로 대비 방식을 바꿔야 하는지….] br br 어수선한 분위기 탓에 오히려 학원을 더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br br 그렇다 보니 올해 2분기 소득 상위 20의 인당 학원 이용 금액도 2019년 대비 30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br br 특히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율도 높은 양상을 보였습니다. br br 학원 시장 전체에서도 고소득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높아졌습니다. br br 반대로 소득이 낮은 하위 30의 경우 올해 10 밑으로 떨어지면서 오히려 양극화는 더욱 심화했습니다. br br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 사교육 관련된 부분에 해당하는 거는 소득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의 양극화가 상당히 심화하는 추이가 지속해 왔는데 이번에 나온 결과는 그런 연장선상에 있는 거다.] br br 정부의 '킬러 문항' 제외 방침에 따른 여진이 이어지면서 교육 현장의 혼란이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엄윤주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 고민철 br br 그래픽 : 이지희 br br br br br br br YTN 엄윤주 (eomyj1012@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7

Uploaded: 2023-07-08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