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이틀째 총파업...정부 긴급 상황점검 회의 / YTN

보건의료노조 이틀째 총파업...정부 긴급 상황점검 회의 / YTN

보건의료노조가 이틀째 총파업을 이어가면서 곳곳에 의료 공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정부는 강경 대응을 예고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지원 기자! br br 오늘 파업 상황 어떻습니까? br br [기자] br 보건의료노조는 오늘 오후 서울 광화문과 부산, 광주, 세종 등 전국 4개 거점 파업지역에 집결했습니다. br br 간호사나 의사 등 의료인력을 확충하고, 간병비 부담을 덜기 위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확대하라고 촉구하고 있는데요. br br 정부가 지난 2021년 노정 합의 사항을 이행하지 않고, 이번 보건의료노조 파업을 정치 행동으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br br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br br [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보건의료노조 파업을) 정치파업으로 매도하면서 어떠한 해결책도 내놓지 않고 있는 보건복지부야말로 진짜 업무를 개시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br br 보건의료노조는 오늘도 전국 140개 사업장에서 4만여 명의 조합원이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중환자실이나 수술실 간호사 등 필수의료인력은 제외되지만, 외래환자 등 전반적인 진료 절차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br br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파업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br br 이와 관련해 잠시 뒤 오후 5시에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연장 여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br br br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br br [기자] br 정부는 오늘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br br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각 시도 단체장과 함께 지역별 파업 상황과 대응 수준을 논의했습니다. br br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 : 시도 차원에서도 비상진료대책본부를 구성하여 필수유지 업무를 점검하는 등 높은 수준의 긴장감을 갖고 환자 진료 차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 주시기 바랍니다.] br br 복지부는 보건의료노조의 요구사항이 이미 관련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입장인데요. br br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br br 또 보건의료재난 위기를 '주의'단계로 상향하고 파업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br br 지금까지 사회정책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r br br br br br YTN 신지원 (jiwons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19

Uploaded: 2023-07-14

Duration: 02:52

Your Page Title